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ived Homophily by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among SNS Users

SNS 자기 노출 집단별 동질성 인식 연구

  • Received : 2012.09.25
  • Accepted : 2012.11.09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erceived homophily by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among SNS users. In this research, there were three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among SNS users such as strong, medium and weak self disclosure group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the more social network service use. In addi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the smaller the degree of online activity including blog and mini web page. Secondly,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o-demographic homophily. It can be argued that the strong group had much more mean scores than that of medium and weak groups in terms of regions, gender, age and vocation except nationality. Also,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the higher the degree of shared homophily except of political opinion homophily.

본 연구는 SNS 자기 노출 집단에 따른 이용자 동질성 인식에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NS 자기 노출 집단을 살펴본 결과, 이들은 적극적 노출 집단, 중간 노출 집단, 소극적 노출 집단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문제인 SNS 자기 노출 집단별 SNS 이용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은 트위터 접속 회수, SNS 메시지 수신 및 발신 건수 등에서 중간 및 소극적 자기 노출 집단보다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니홈피와 블로그 등의 온라인 활동에서는 소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응답자들의 평균 점수가 다른 집단 응답자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SNS 자기 노출 집단별 인구사회학적 동질성을 살펴본 결과, 국적을 제외한 지역, 성별, 연령, 직업 등에서 모두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이용자들의 동질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된 동질성 인식 측면에서도 적극적 자기 노출 집단 응답자들은 관심 분야, 취향, 취미, 이용자들 간의 관계 등에서 모두 동질성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의견이나 생각에 대한 동질성 인식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용석, "표현매체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내용규제의 문제점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8권, pp.106-129, 2012.
  2. 이한석, "SNS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문화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군, 제7호, pp.336-34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36
  3. 최세경, 곽규태, 이봉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 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1호, pp.159-200, 2012.
  4. 김종덕, 조나현, "개인 블로그를 통한 자기기술(自己技術)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8호, pp.128-14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8.128
  5. 이새봄, 판류, 이상철, 서영호, "자기표현욕구와 개인정보노출우려가 자기노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학, 제29권, 제2호, pp.1-20, 2012. https://doi.org/10.7737/KMSR.2012.29.2.001
  6. S. N. Jourard and P. Lasakow,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56, No.1, pp.91-98, 1958. https://doi.org/10.1037/h0043357
  7. J. Suler, Psychology of Cyberspace. http://users.rider.edu/-su ler/psycyber/psy cyber.html
  8. 윤해진, "온라인 서포트 커뮤니티에서의 인지된 익명성",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6호, pp.305-332, 2006.
  9. 이항우, "미니홈피와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조건", 한국사회학, 제40권, 제3권, pp.124-154, 2004.
  10. 김예란, "가상공간의 대화적 글쓰기.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3권, pp.31-57, 2004.
  11. 손영란, 박은아, "자기노출 및 대인관계성향에 따른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의 차이",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5권, pp.155-194, 2010.
  12. 이재신, 연보영, "미니홈피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자기노출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3호, pp.98-121, 2008.
  13. 최영, 박성현,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2호, pp.241-276, 2011.
  14. J. B. Horrigan and L. Rainie, Getting serious online. Retrieved, Vol.17, 2002(5). from http://www.pewinternet.org/reports/pdfs/PIP_Getting_Serious_Online3ng.pdf
  15. 정병은, "유권자의 사회자본과 지역주의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학, 제39권, 제5호, pp.83-118, 2005.
  16. M. McPherson, L. Smith-Lovin, and J. M. Cook, Birds of a Feather: Homophily in Social Networks.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7, pp.415-433, 2001. https://doi.org/10.1146/annurev.soc.27.1.415
  17. S. Feld, Structural determinants of similarity among associates, American Sociological Re view, Vol.47, No.6, pp.797-801, 1982. https://doi.org/10.2307/2095216
  18. H. Ibarra, "Homophily and differential returns: Sex differences in network structure and access in an advertising firm,"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7, No.3, pp.422-447, 1992. https://doi.org/10.2307/2393451
  19. 류정호, 이동훈, "소셜 미디어로서 마이크로 블로그 공론장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309-330, 2011.

Cited by

  1. Effects of Brand Self-Disclosure and User Social Connectedness on Response to Facebook Brand Fan Pages vol.13, pp.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060
  2. A Co-family Managerial Photo Share Mobile App UI Development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029
  3. Korean TV Talk Shows Trend from a Self-disclosure Perspective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070
  4. Effects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Gender on the Self-Presentation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s for Facebook Use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