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hods of Eco-jewelry Design Using regeneration possibility Materials

재생가능용품을 사용한 에코장신구디자인 방안 모색

  • 김동현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주얼리디자인전공) ;
  • 최윤정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주얼리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2.09.13
  • Accepted : 2012.11.14
  • Published : 2012.12.28

Abstract

Various industrial sectors have formally turned to Green Development, practicing eco-design with the goal of saving the environment. Such trend can also be applied to jewelry design and production. Jewelry, which emerged with the birth of humankind, has been a contributing factor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pletion of resources due to mass production and reckless consuming patterns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arrival of the World economic crises, however, the consumption of jewelry has dropped and now the industry desperately needs a boost for revival. In this paper, we propose a way to recycle waste materials and turn them into a new kind of jewelry. We introduce various junk materials that can be reused, and how to reuse them. The new type of jewelry we aim for is environment-friendly, low-cost, and unique as opposed to identical mass production of the past. The eco-design product will likely add new value to jewelry industry. The product targets sophisticated modern consumers with conscientious, environmentally aware consuming patterns. To fulfill the needs of these consumers, we propose methods of upcycling from junk to jewelry, by combining precious stones with waste materials.

다양한 산업분야에서는 '녹색경영'이 화두가 되어 환경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에코디자인을 실천하고 있다. 인류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장신구는 지난 20세기의 대량 생산과 소비의 가속화로 자원고갈과 환경오염문제를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세계의 경제의 위기 속에 소비자의 욕구가 위축되어 장신구 산업의 돌파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폐품을 재사용하여 합리적인 가격의 다양한 원자재 종류와 활용방법, 개성과 감성을 표현하는 고품격 장신구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변화 있는 패션 연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에코디자인을 통한 개성 있는 장신구가 장신구의 가치를 재조명 할 것이다. 시대적 합리성까지 고려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폐품과 귀금속의 조화를 통한 업사이클링 장신구 디자인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경화, "빈티지 패션제품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p.28, 2008.
  2.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리사이클링백서, 청문각, p.51, 2004.
  3. Eric Garand, 손민중 옮김, 미래를 읽는 기술, 한국경제신문, p.310, 2008.
  4. 고세영, 이순종, 부승철, 장민경, 양해연, 이성훈, 이동연, 정희연, 최인규, "에코디자인의 가치구조 분석과 제품디자인 전략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p.83, 2006.
  5. 신현국, 환경대통령, 다문, p.187, 2007.
  6. 신혜영, "패션산업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리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제12권, 제3호, p.263, 2011.
  7. 배정후, 이경희, 제기연, "친환경 패션 주얼리의 조형적 특징", 한국디자인포럼, 제30권, p.292, 2011.
  8. 남후남, "서스테이너블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0권, 제2호, p.58, 2010.
  9. 알렉스 스테픈, 월드체인징, 바다출판사, p.125, 2009.
  10. 김새봄, 에코패션디자인의 유형 체계와 조형적 특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p.12, 2011.
  11. 정유란, 폐기물을 활용한 패션잡화 산업의 업사이클 리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p.73, 2012.
  12. 이광수, 전환기의 미술, 열화당, p.23, 1979.
  13.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 오늘을 걷는 공예, 마로니에북스, p.2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