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ime Allotments for Activities of Rural Elder Population

생활시간 분석을 통한 고령 농가의 정주활동구조 연구

  • Lee, Yoonhe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Bae, Yeonjo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imin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J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h, Kyo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윤희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배연정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 이지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연수연구원) ;
  • 이정재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서교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2.11.20
  • Accepted : 2012.12.05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time management and allotments for various activities of daily life is much different by age groups. This study analyzes time allotments of different age groups for various activities of daily life to figure out the change of main activity by aging through 2009 time use survey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specially we focus on time allotments of rural elderly population and intangible factors for life quality of people instead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large gap of time allotments for paid and unpaid working time of rural and urban elderly population. Whereas the time for leisure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is much shorter than that of urban elderly women and rural elderly men spend more time to provide community services and help to other households. However, the percentage leisure time of rural elderly people for passive activities such as TV, radio, magazine etc. is longer than that of urban elderly people. We hope that our analysis data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new policies and project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rural elderly popu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욱, 박경민, 2012,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韓國老年學, 32(1), 129.143.
  2. 국토연구원, 2007, 농촌지역특성의 진단지표개발과 정책적 활용방안.
  3. 권정아, 이동근, 최재용, 2000, 환경친화적인 농촌개발을 위한 평가지표의 개발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3(3), 29-36.
  4.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27-41.
  5. 김대식, 정하우, 2001, 농촌 중심마을의 공간적 입지-배분 모형의 개발(II) - 모형의 적용 및 응용성 평가 -, 한국농공학회지, 43(3), 46-55.
  6. 김대식, 정하우, 2001, 농촌중심마을의 공간적 입지- 배분 모형의 개발(I) - 모형의 개발 및 검증 -, 한국농공학회지, 43(2), 112-121.
  7.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硏究, 23, 179-202.
  8. 김진욱, 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硏究, 32, 149-177.
  9. 김홍배, 문동주, 박준화, 2008, 지역진단 지표개발과 지역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國土計劃, 43(1), 183-196.
  10. 나준엽, 정남수, 이정재, 2006, 정보편익에 의한 농촌생활환경시설의 계획 모델 개발, 농촌계획, 12(4), 77-82.
  11. 농림부 보도자료, 2012, 농어촌 주민 삶의 질 만족도 조사 결과.
  12. 박창석 ,임승빈, 2001, 지역시설계획을 위한 정주행태 특성과 그 영향요인 분석, 國土計劃, 36(1), 25-38.
  13.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재, 2003, 농촌의 잠재적 가치에 의한 농촌지역개발 평 가지표 연구, 농촌계획, 9(1), 47-53.
  14. 서교, 한이철, 이지민 ,이정재, 2006, DEA와 AHP기법을 이용한 농촌건강장수마을사업 평가모형 개발, 농촌계획, 12(4), 1-11.
  15. 석소현, 김귀분, 2008,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311-321.
  16. 손신영, 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韓國老年學, 26(3), 601-615.
  17. 손애리, 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18. 송미령, 김광선, 2009, 농촌 서비스 기준 도입 필요성과 과제, 韓國地域開發學會誌, 21(4), 1-18.
  19. 신영선, 강영은, 오동엽, 임승빈, 2008,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 연구, 농촌계획, 14(2), 43-54.
  20. 윤원근, 이상문, 1998, 농촌생활환경정비 대상 시설 항목의 선정 : 정책적 제안, 농촌계획, 4(2), 8-19.
  21. 이상호, 2008, 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분석, 농촌경제, 31(4), 33-48.
  22. 이택영, 김진경, 2010, 도시 및 농어촌 노인의 활동 수준 및 활동 정도에 따른 삶의 질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2), 402-411. https://doi.org/10.5392/JKCA.2010.10.2.402
  23. 임승빈, 조순재, 박창석, 1995, 취락구조 개선마을 (新村型) 의 주민의식 및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 53-66.
  24. 채화영, 김주희, 이기영, 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29-146.
  25. 최수명, 김영주, 황한철, 1998,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농촌지역시설 적정입지선정 모델 - 농공단지를 중심으로 -, 농촌계획, 4(1), 98-107.
  26. 최연희, 2004,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21(2), 87-100.
  27. 통계청, 2010, 2009 생활시간조사보고서.
  28. 통계청홈페이지, http://kosis.kr 2010 인구주택총조사.
  2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a, 농촌 지역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발전 방안.
  3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b, 도시민의 농어촌 정주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3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c,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생활권 종합진단지표 개발과 활용.
  32.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2008, 농촌 정주환경 지표 및 자료관리 체계 구축방안.
  33. 허학영, 남상채, 최상운, 오민근, 안동만, 2002, 농촌 공공기반시설 현황 조사 및 문제점 분석, 농촌계획, 8(1), 105-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