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진주시 홍수재해용 대피소 적합성 평가

Suitability Assessment for Flood Disaster Shelters of Jinju City

  • 유환희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 손세련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2.08.23
  • 심사 : 2012.09.07
  • 발행 : 2012.09.30

초록

진주시는 과거 발생한 태풍 및 집중호우 등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침수위험지구를 8곳 선정하고 이 지역에 대한 대피소를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구 중 시가지에 위치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나불지구와 상평지구를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침수재해가 발생할 경우 대피조건을 고려하여 아동, 일반성인, 노약자로 구분하고 이동속도와 도달시간을 계산하여 대피소의 위치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GIS의 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과 노약자의 경우 대피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피소로 대피하는데 적정대피 계획시간을 초과하고 있으며 일부지역은 일반성인도 규정된 대피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불, 상평지구에 현재 지정된 대피소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피소를 1-2개 추가 지정하여 대피시간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였으며, 향후 대피경보발령과 연령별 대피계획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축하여 재해발생 시 인적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Jinju city is operating by selecting 8 places as the flood inundation risk area and by designating shelters on this area targeting districts damaged by typhoon and heavy rain, in the past.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area as Nabul district and Sangpyeong district where are located in the town and that has high population density out of districts with inundation risk. The network analysis of GIS was applied to the suitability assessment on location of shelter by calculating the moving speed and the arriving time after dividing it into children, general adults, and aged 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 evacuation condition in inundation disaster. As a result, it was indicated that optimal evacuation plan time for children and aged people exceeded in getting to the shelter because of evacuation time excess and that even general adults outrun the prescribed evacuation time in some districts. Accordingly, a problem for evacuation time was improved by additionally designating 1-2 shelters to existing shelters in Nabul and Sangpyeong districts. A countermeasure is needed to reduce life and property damage in disaster occurrence by implementing the evacuation warning and the age-based evacuation plan more specifically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방재연구소, 2003, 재해원인분석조사단 운영 활성화 및 홍수범람지도 활용방안 연구.
  2. 국립방재연구소, 2011a, 풍수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분석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3. 국립방재연구소, 2011b, 도시계획 수립시 풍수해저감을 위한 매뉴얼 개발.
  4. 손세련, 유환희, 2012, 진주시 재해피난용 대피소 및 대피로 적합성 평가, 2012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pp.99-100.
  5. 이경옥, 2000, 유아발달에 따른 보행인자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Vol.39, No.2, pp.527-536
  6. 이영우, 2005, 침수지역 주민의 피난대응과 최적의 정보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삼척대학교 방재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정순둘, 박현주, 최여희, 이지현, 2008, 재난 시 노인의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8권, 5호, pp.71-76.
  8. 진주시, 2005, 침수흔적도 및 재해지도제작 보고서.
  9. 홍해리, 서동구, 長谷見雄二, 권영진, 2001, 고령자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5, No.1, pp.19-26.
  10. 황덕수, 2001, 보행자 신호체계에 대한 새로운 제안,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Adeaga Olusegun, 2009, Planning and Warning Tools For Flood Disaster Management in Lagos Mega City, Fifth Urban Research Symposium 2009, pp. 1-8.
  12. Kar Bandana., Hodgson, Michael E., 2008, A GIS-Based Model to Determine Site Suitability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Transactions in GIS, 12(2), pp. 227-248. https://doi.org/10.1111/j.1467-9671.2008.01097.x
  13. Windhouwer, C.J., Klunder, G.A., 2005, Decision Support System Emergency Planning, Creating Evacuation Strategies in the Event of Flood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ISCRAM Conference, pp. 171-180.
  14. Xu Wei, Okada Norio , Hatayama Michinori , and HE Chunyang, 2006, Conceptual Model of Shelter Planning Based on the Vitae System, Annuals of Disas. Prev. Res. Inst., Kyoto Univ., No. 49B, pp. 181-188.

피인용 문헌

  1. Evacu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Shelters in Disaster Risk Districts of Changwon City vol.21, pp.3, 2013, https://doi.org/10.7319/kogsis.2013.21.3.027
  2. Proper Location of Disaster Shelters according to Evacuation Time - Focused on Coastal Areas in Hongseong Gun vol.14, pp.1,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1.319
  3. The framework of public security spatial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pace-Time' interaction vol.36, pp.9, 2012, https://doi.org/10.31497/zrzyxb.20210906
  4. Analysis of Evacuation Time for Vulnerable Individuals During Inundation of Lowland Areas vol.16, pp.5, 2021, https://doi.org/10.20965/jdr.2021.p0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