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ditional Clothing Design by Applying the late Joseon's Women Underwear Style

조선후기 여성속옷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Yeom, Soon-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 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염순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김은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2.02.27
  • Accepted : 2012.05.2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late Joseon's variously developed characteristics of women's underwear and its formative elements, and ultimately aims to apply such characteristics to designing modern outfit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ed work is to give guidelines on utilizing the fashion legacy in a various way, and inherit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beauty by developing it into modern fashion designs. The designing and producing of the work i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genre paintings, and traditional costumes in museums. Based on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underwear design to today's outfits involv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resented work features the formative outlines of traditional underwear as an inspiration for outer garments. Secondly, various traditional textiles are used such as ramie fabrics, damask silk, silk fabrics, fur, etc. for four seasons and they are turned to practical use for modern outfits. Third, colors of choice are white and low saturation colors to create an elegant and serene atmosphere. Finally, traditional sewing techniques are specifically applied to modern fashion designs. Included are: Nubim technique, Gob-sol technique, and the patching method. This work pursues the design of practical use by tying up clothes with straps and knots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off.

Keywords

References

  1. 조효순 (1988),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226-230.
  2. 김영희 (1998), 전통 내의 문화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3. 김혜진 (1988), 한국여성 친의류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4. 김혜경 (2005), 조선후기 살창고쟁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5. 윤현진 (2001), 조선후기 여자속옷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6. 이순자 (1999), 여성 속옷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7. 황의숙 (2003), 속옷 착용에 따른 전통복식의 실루엣에 관한연구, 배화논총, 22, pp. 233-250.
  8. 이지혜 (2007), 한국 근대 여성 전통 속옷의 변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9. 박춘순 (1991), 바지형태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과정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
  10. 김인숙 (1987), 바지考, 대한가정학회지, 25(2), pp. 25 -30.
  11. 김동욱 (1978), 출토 조선시대 유의와 복식사적 연구, 복식, 2, pp. 9-20.
  12. 안인실 (2001), 조선시대 바지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13. 이경자 (1991), 개성복식의 연구, 복식, 17, pp. 45-56.
  14. 자료검색일 2008. 8. 11, http://preview.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 =b03
  15. 한미라, 전경숙 (2004), 한국인의 생활사, 서울: 일진사, p. 138.
  16. 강언순 (2006), 조선후기 사대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28(1), p. 3.
  17. 박용옥 (1991), 한국 여성 연구 1, 서울: 청하, pp. 8-13.
  18. 강언순 (2006), 조선후기 사대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28(1), p. 40.
  19. 강언순 (2006), 조선후기 사대부 여훈서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 28(1), p. 39.
  20. 국어국문학회 (1996), 민중판 밀레니엄 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p. 543.
  2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1991), 한민족문화대백과 사전 1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 p. 829.
  22.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 248.
  23. 손경자, 김영숙 (1982), 한국복식사 자료선집, 조선편 I(조선왕조실록), 서울: 교문사, p. 71.
  24. 손경자, 김영숙 (1982), 한국복식사 자료선집, 조선편 I(조선왕조실록), 서울: 교문사, p. 80.
  25. 손경자, 김영숙 (1982), 한국복식사 자료선집, 조선편 I(조선왕조실록), 서울: 교문사, p. 357.
  26. 박성실 (1984), 한국사 25,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p. 320.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十二- 藏西閣篇III,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82.
  28.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07), 조선여인의 속 입성거리, 서울: 단국대학교, p. 243.
  29.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500.
  30.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4),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42.
  31. 윤현진 (2001), 조선후기 여자속옷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
  32.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496.
  33. 단국대학교 석주선 박물관 (2006), 환생, 서울: 역사박물관, p. 57.
  34.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495.
  35.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07), 조선여인의 속 입성거리, 서울: 단국대학교, p. 67.
  36.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498.
  37.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4),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81.
  38.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4),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75.
  39. 조효순 (1988),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226-231.
  40. 이경자, 홍나영, 장숙환 (2004), 우리옷과 장신구, 서울: 열화당, p. 279.
  41. 조희진 (2003), 선비와 피어싱, 서울: 동아시아, pp. 36-37.
  42. 안인실 (2001), 조선시대 바지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23.
  43.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07), 조선여인의 속 입성거리, 서울: 단국대학교, p. 27.
  44.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07), 조선여인의 속 입성거리, 서울: 단국대학교, p. 15.
  45.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499.
  46.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153.
  47. 李能和(1927), 朝鮮女俗考, 第十八章, 朝鮮女子服裝制度, 서울: 동문선, p. 317.
  48.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p. 155.
  49. 유희경 (2002),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 486.
  50. 조효순 (1988),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222.
  51. 李德懋(1985), 韓國傳統禮節 士小節, 서울: 명문당, p. 198.
  52. 오주석 (2006), 한국의 미, 서울: 솔, p. 204.
  53. 오주석 (2006), 한국의 미, 서울: 솔, p. 207.
  54. 강명관 (2007),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218.
  55. 강명관 (2007),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나오다, 서울: 푸른역사, p. 238.
  56. 중앙일보, (1985), 한국의 미, 19, 서울: 중앙일보사, p. 111.
  57. 오주석 (2006), 한국의 미, 서울: 솔, p. 111.
  58. Richard Martin and Harold Koda (1993), Infra Apparel, NY: Metropolitan Museum of Art, pp. 64-66.
  59. 금기숙 (2005),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p. 26- 27.
  60. 한국여성사편찬위원회 (1950), 한국여성사 II, 서울: 이화여대출판부, p. 51.
  61. 조효순 (1981), 조선후기 여성복식과 개량논의, 복식, 4, pp. 6-7.
  62. 조효순 (1988), 한국복식 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140-141.
  63. 손경자, 김영숙 (1982), 한국복식사 자료선집, 조선편 I(조선왕조실록), 서울: 교문사, p. 338.
  64. 윤혜성 (1999),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12.

Cited by

  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 Foundation with Heating Devices vol.15, pp.2, 2013, https://doi.org/10.5805/SFTI.2013.15.2.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