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dentify factors determining the succes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such as government-driven standardization activities. Six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namely, 'Direct government support', 'Indirect government support', 'Utilization of standardization bodies', 'Standardization strategy', 'Attainment of a dominant market power', and 'Adoptio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hether direct or indirect, had no direct effect on the outcome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efforts, but produced an indirect influence on it through mediating factors such as the attainment of a dominant market power. Secondly, the attainment of a dominant market power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suggesting that the government must direct its efforts to help boost the market power of target standards through measures like promoting a timely market entry and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standards, in a manner to induce market satisfaction, increasing lock-in effects and building a quasi-vertical integration system. Thirdly, direct support from the government holds the key to the succes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ith de jure standardization bodies, while the strategic use of standardization bodies appears the most important for the positive outcome of standardization concerning de facto standardization bodies.
본 연구는 국제표준화에서의 성공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설문조사에 기반을 둔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요인간의 관계를 추정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6개의 요인, 즉 '정부의 지원(직접)', '정부의 지원(간접)', '표준기구 활용', '표준화 전략', '시장지배력 확보', 그리고 '국제표준채택'이 추출 및 설정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은 국제표준 채택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지만 시장지배력 확보와 같은 중간 매개요인을 통하여 국제표준 채택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시장지배력 확보는 국제표준 채택에 가장 중요한 효과를 끼치므로 정부는 대상 표준의 연관 시장지배력을 확보하도록 선도적 시장진출, 고품질의 표준개발을 통한 시장의 만족도 증가, 잠김효과(lock-in effect)의 확대, 그리고 유사수직통합 시스템 구축을 통한 시장지배력 확보에 대한 적극적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셋째, 공식표준화기구에서의 국제표준 채택을 위해서는 정부의 직접지원이 가장 중요하며, 사실상표준화기구에서의 국제표준 채택은 표준화기구 자체의 전략적 활용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