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광역도시권 차원의 자연재해 저감방안 연구 -자연재해 취약성에 따른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

  • Shim, Jae Heo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Ja Eu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Ho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심재헌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자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성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2.10.19
  • Accepted : 2012.11.08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paper classifies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The procedure of our empirical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it summarizes variables related to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to significant factors, carrying ou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econd, it classifies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conducting cluster analysis using factor scores. Lastly, it proposes differential measures for natural hazard mitigation for classified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해 취약성에 근거하여 수도권 도시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자연재해 취약성 요인의 추출, 요인득점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분류, 유형화 결과에 기초한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 제시라는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성분분석의 결과 고유치가 1 이상인 유의미한 요인은 3개로 추출되었고, 이들은 각각 자연재해에 대한 지형적 내재해성, 비도시성, 재해예방능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지역별 요인득점을 이용한 k-medians 비계층적 군집분석의 결과 사례지역은 지형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재해예방능력이 미흡한 지역, 시가화지역으로서 재해예방능력이 양호한 지역, 비도시지역으로서 지형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 자연재해에 대한 지형적 내재해성을 갖고 있으나 재해예방능력이 미흡한 지역이라는 4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끝으로 수도권 내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Land Cover Map,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Center, 2010.
  2. C.I. Choi, "A Study on Natural Hazards Vulnerability in Urban Area Land Use Change -In case of Kyonggi Provinc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40, pp.35-48, 2003.
  3. T.S. Park, et al., "Flood Damage Index regarding Regional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0, pp.361-366, 2010.
  4. J.E. Kang, et al., "Urban Renewal Strategy for Adapting to Climate Change : Use of Green Infrastructure on Flood Mitigation", Report of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2011.
  5. S.W. Kim, et al., "Flood-Disaster Safety Evalu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s Using Analytic Network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4, pp.1-14, 2012.
  6. J.H. Shim, et al., "An Analysi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racteristics and Damages caused by Natural Hazar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pp.4319-4325,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9.4319

Cited by

  1. A Study on Mitigation Measure by Classification of Areas based on Risk Factors of Snowfall vol.15, pp.2,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2.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