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blems and New Strategy of the Development Policy for Under-developed Region: Focused on the Awareness of the Officials in Charge of Regional Development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담당 공무원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 이병우 (국토해양부 지역정책과) ;
  • 김남정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명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2.09.22
  • Accepted : 2012.10.24
  • Published : 2012.10.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major development policies for under-developed region by ministries and studies how the awareness or perspective of public officials on such policies impact the policy environment. This paper aims to redefine the goal and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o that it can effectivel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and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found out through a documentation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olicy for underdeveloped reg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re streamlined and integrated policies which are currently fragmented being implemented by different ministries are nee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execution. Secondly, improvements on the process of securing government funding and operating systems are needed to guarantee the rational standard of providing state subvention, the expansion of comprehensive subsidy and the independence of policy execution. Thirdly, amendments on the policy measures are need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the customized projects, strengthen cooperation among those projects by establishing a system for effectiv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낙후지역 개발정책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전 국토의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였으나 지방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육성하기보다는 중앙부처별로 소관업무를 분산하여 추진함으로써 지역특성이 반영되고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수요자 맞춤형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현재 각 부처별로 시행되고 있는 주요 낙후지역 개발정책들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다양한 문제점과 개선대책에 대한 조사를 통해 지역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각 중앙부처별로 분산적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통합 조정을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계획 일관성 및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낙후지역 개발사업을 위한 재정 확충 및 운용시스템 개선 등 국고지원을 위한 기준의 합리적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율적인 지역개발사업 추진체계를 구축하여 사업간의 연계협력 강화와 맞춤형 사업 발굴 및 집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7a), 낙후지역의 인구.사회특성을 감안한 지역 개발방안.
  2. 건설교통부(2007b), 낙후지역 개발제도 평가 및 제도개선방안 수립 연구.
  3. 고병호(1994), "지역개발이론의 체계적 접근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6(2): 87-124.
  4.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5),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통합에 관한 기초연구.
  5. 국토연구원(2006), 낙후지역 활성화를 위한 지역개발법인 활용방안 연구: 개발촉진지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 국토연구원(2008), 지역개발사업의 통합적 추진모형 구축 및 적용방안(I), 국토연구원.
  7. 김용웅, 차미숙(2001), "유럽의 지역개발 성공사례와 동향", 한국문화정책연구원.
  8. 김현호, 한표환(2005),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조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9. 이동우, 이순자(1998), "지역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효과분석", 1998년도 연구보고서 요약집, 국토연구원.
  10. 이원섭(2006), 낙후지역 개발을 위한 지역개발법인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수도권발전 연구소.
  11. 정연우, 송영일, 김남정(2010), "낙후지역의 성장잠재력 지표개발을 통한 지역특성 분석: 신발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2): 43-58.
  12. 차미숙, 박준화(2008), "지역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월간국토, 8월호, 국토연구원.
  13. 최윤기, 사공목(2005), 낙후지역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산업연구원.
  14. 행정안전부(2004), 낙후지역 선정지표 개발 최종 보고서.
  15. 한표환, 박희정(1999), 지방자치단체 지역개발사업의 평가체계 및 기법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6. 홍기용, 박종찬(2006), 낙후지역 개발사업 및 특구사업의 사업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공사.
  17. Klaassen, L. H. (1965), Area economic and social redevelopment; guidelines for programmes. Paris: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