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소규모 (WRF-ARW) 기후모델을 이용한 지역유출 모의 평가:청미천 지역을 중심으로

Estimation for Runoff based on the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tions:Cheongmi Region

  • 백종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정용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최민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투고 : 2011.09.09
  • 심사 : 2011.11.22
  • 발행 : 2012.02.29

초록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수자원 분야에서도 그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강우관측소, 레이더 등을 사용한 강우가 아닌 전 지구적 바람장과 온도, 기후 등의 이동 등을 계산하는 기후모델 WRF-ARW를 이용하여 공간 분포된 강우 자료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해 보려한다. 이를 위하여 청미천 유역을 격자 형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인 ModClark은 WRF-ARW의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집중형 모형은 강우관측소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이들을 청미천 수위관측소 유출자료와 비교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하여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WRF-ARW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포형 모형의 유출곡선은 관측된 유출곡선과 비교 시 첨두시간과 첨두 유출량이 유사하였으며 전체적인 유출곡선의 경향도 실제 유출곡선의 경향을 추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limate change has been obtained researchers' interest, especially i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o adjust current conditions to the new circumstance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RF-ARW will be evaluated the capability to estimate distributed precipitation using global weather information instead of the data from rainfall observatory or radar. Cheongmi watershed is selected and adopted to generate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ModClark. The results from the distributed model with precipitation data from WRF-ARW and the lumped model using observed precipitation data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ischarge values. The final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ed model, ModClark generated similar pattern of hydrograph to the observations in terms of the time and amount of peak discharge. In addition, the trend of hydrograph from the distributed model presented similar pattern to the observ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08) 2008년도 유량조사 보고서, 627.12-9-71.
  2. 김경탁, 최윤석(2004)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유효강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권 제2 호, pp. 1-15.
  3. 김병식, 배영혜, 박정술, 김경탁(2008)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모의; 임진강 유역,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1권 제3호, pp. 52-67.
  4. 김수전, 권영수, 이건행, 김형수(2010)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보정 및 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2B호, pp. 159-167.
  5. 복정수, 정대진, 김유리, 박봉진, 정관수(2007)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한 감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5권, pp. 1915-1919.
  6. 서봉철(2003) 홍수예경보시스템 정확도 향상을 위한 크리킹 기법의 적용, 2003 년도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 2393-2401.
  7. 성동권, 조기성(2002) BurnDEM을 이용한 유역 및 하도망 추출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 2D호, pp. 293-301.
  8. 안상진, 윤석환(2005) ModClark 모형을 이용한 유출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3호, pp. 245-257. https://doi.org/10.3741/JKWRA.2005.38.3.245
  9. 안승섭, 박노삼, 고수현, 송인렬(2006) 수문학적 토양군의 분류기준에 따른 SCS CN 및 유출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5권 제8호, pp. 775-784. https://doi.org/10.5322/JES.2006.15.8.775
  10. 양인태, 김연준, 유영걸(2002) DEM 격자크기에 따른 지형경사와 배수유역 면적의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0권, 제3호, pp. 303-311.
  11. 윤강훈, 서봉철, 신현석(2004)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233-240. https://doi.org/10.3741/JKWRA.2004.37.3.233
  12. 윤용남, 김중훈, 유철상, 김상단(2002) 공간 분포된 강우를 사용한 유출 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오차가 유출계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1호, pp. 1-12. https://doi.org/10.3741/JKWRA.2002.35.1.001
  13. 이재수(2008) 수자원공학, 구미서관
  14. 장철희, 권형중, 고덕구, 김성준(2003) 지상강우 관측치에 의한 TRMM/PR 관측치의 보정 및 SCS 유출해석 :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647-659. https://doi.org/10.3741/JKWRA.2003.36.4.647
  15. 정인균, 김성준(2003) 효과적인 유역 및 하도망 추출을 위한 DEM전처리 방법의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D호, pp. 393-400.
  16. 조홍래, 정종철(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한국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1호, pp. 29-41.
  17. Anderson, M., Chen, Z.Q., Kavvas, M., and Feldman, A. (2002) Coupling HEC-HMS with atmospheric models for prediction of watershed runoff,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7, No. 4, pp. 312-318.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2002)7:4(312)
  18. Clark, C.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10, pp. 1419- 1446.
  19. Knebl, M., Yang, Z.L., Hutchison, K., and Maidment, D. (2005) Regional scale flood modeling using NEXRAD rainfall, GIS, and HEC-HMS/RAS: a case study for the San Antonio River Basin Summer 2002 storm ev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75, No. 4, pp. 325-336. https://doi.org/10.1016/j.jenvman.2004.11.024
  20. Knebl-Lowrey, M.R. and Yang, Z.L. (2008) Assessing the capability of a regional-scale weather model to simulate extreme precipitation patterns and flooding in central Texas, Weather and Forecasting, Vol. 23, No. 6, pp. 1102-1126. https://doi.org/10.1175/2008WAF2006082.1
  21. Scharffenberg, W.A., Fleming, M.J., and Center, H.E. (2006) Hydrologic Modeling System HEC-HMS: User's Manual.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22. WAMIS, 국가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23. Yarnal, B., Lakhtakia, M., Yu, Z., White, R., Pollard, D., Miller, D., and Lapenta, W. (2000) A link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model system: the Susquehanna River Basin Experiment (SRBEX), Global and Planetary Change, Vol. 25, pp. 149-161. https://doi.org/10.1016/S0921-8181(00)000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