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Sap Exudation of Juglans Mandshurica and Acer Mono : (III) Inje Region in Korea

가래나무 수액와 고로쇠나무의 출수량에 미치는 영향 인자 분석 : (III) 인제 지역

  • Choi, Won-Sil (National Instrumentation Center for Environment Manage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i, In-Gyu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Jin (Division of Wood Chemistry and Microbiology, 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원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공동기기원) ;
  • 최인규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전공) ;
  • 박미진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 Received : 2012.05.22
  • Accepted : 2012.11.09
  • Published : 2012.11.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 for sap exudation of Juglans mandshurica in comparison with Acer mono Max. trees in a site of Inje-Gun, Gangwon-Do, Korea. Amount of sap exudation, air temperature, relative air humidity and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ere monitored for the period of February 1 through March 31, 2008, and correlation analysis of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ap exudation was carried out. Sap exudation from J. mandshurica initiated on Feb. 28 as the same time in case of A. mono and continued for a month, and enhanced in early March compared to around the middle of March for A. mono. The amount of sap of A. mono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but there was no apparent relationship for J. mandshurica. As the amount of sap exudation per tree increased then sap exudation per unit DBH was also linearly proportional in both J. mandshurica and A. mono. The amount of sap exudation per unit DBH of J. manshurica were $0.3{\pm}0.1{\ell}/cm$ on average, which was one third times of $0.9{\pm}0.1{\ell}/cm$ for A. mono. During the days of enhanced sap exudation, the atmospheric condition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round J. manshurica trees were very similar with those of A. mono. The minimum temperature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amount of sap of J. mandshurica whereas the range of temperature was the principal factor for A. mono. In conclusion, the sap of J. mandshurica exudated in atmospheric conditions similar to A. mono, but the amount of sap was affected by different atmospheric factors compared to A. mono.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지역의 가래나무의 수액 출수와 영향인자들을 분석하여 고로쇠나무 수액의 대체자원으로서 최적의 수액 출수 조건을 얻고자 출수량, 흉고직경, 시험지의 기온과 상대습도를 2008년 2월 1일~3월 31일의 기간에 측정하여 출수량과 다른 측정값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고 고로쇠나무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가래나무 수액의 출수는 고로쇠나무 경우와 유사한 출수 시기와 출수 기간을 가지고 있었으나 가래나무 수액 출수는 출수 기간의 초기에 집중되었다. 동일 지역의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량은 나무의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한 것과 달리 가래나무 수액의 출수량은 흉고직경 증가에 따른 뚜렷한 증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수액 출수량이 높은 개체의 경우 고로쇠나무와 가래나무 모두 단위 흉고직경 당 출수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로쇠나무의 흉고직경 당 출수량은 전체 평균 $0.9{\pm}0.1{\ell}/cm$으로 가래나무의 평균 $0.3{\pm}0.1{\ell}/cm$에 대비하여 3배에 달하였다. 수액이 많이 출수되는 날의 기온와 상대습도는 고로쇠나무와 가래나무 경우 모두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 가래나무 수액 출수는 고로쇠나무의 경우와 같이 외부 기후 조건에 많이 영향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액출수량과 기온 및 대기 습도와의 상관 분석에서 가래나무의 경우 일중 최저 기온(P < 0.05)이, 고로쇠나무의 경우 기온차(P < 0.01)가 수액 출수량에 가장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가래나무의 수액 출수는 고로쇠나무와 유사한 기후 조건에서 발생하나 그 수액 출수량은 고로쇠나무보다 적고 이에 영향하는 주요 인자 또한 다른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홍은, 권기철, 박철하, 조남석. 1998. 목재공학 26(3): 81-92.
  2. 최근표, 정병희, 이동일. 2002.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0(5): 399-402.
  3. 박범진, 송칠영, 김선아. 1996. 환경연구 14: 77-89.
  4. 권기원, 송호경, 박관수. 2000. 한국임학회지 89(2): 249-255.
  5. 김갑태. 200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 309-315.
  6. 신현동. 1995. The Plant Pathology Journal 11(2): 120-131.
  7. Li G, S. Y. Lee, K. S. Lee, S. W. Lee, S. H. Kim, S. H. Lee, C. S. Lee, M. H. Woo, and J. K. Son. 2003. Arch. Pharm. Res. 26(6): 466-470. https://doi.org/10.1007/BF02976864
  8. Lee K. S., G. Li, S. H. Kim, C. S. Lee, M. H. Woo, S. H. Lee, Y. D. Jhang, and J. K. Son. 2002. Journal of Natural Products 65(11): 1707-1708. https://doi.org/10.1021/np0201063
  9. 엄석현, 조동하, 김명조, 유창연, 김성무, 박형재, 박승문. 200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4): 266-270.
  10. 김진규, 사전령, 배영수. 2006. 목재공학 34(6): 51-60.
  11. 권동주, 김진규, 배영수. 2008. 한국임학회지 97(3): 119-123.
  12. 최원실, 박미진, 김호용, 최인규, 이학주, 강하영. 2010a. 목재공학 38(4): 349-358.
  13. 최원실, 박미진, 이학주, 최인규, 강하영. 2010b. 목재공학 38(1): 66-74.
  14. Sauter, J. J. Physiology of sugar maple. 1971. Harv. For. Annu. Rep. 1970-1971: 10-11.
  15. Milburn J. A. and P. E. R. O'Malley. 1984. Can. J. Bot. 62: 2101-2106. https://doi.org/10.1139/b84-285
  16. 산림청 지침 산림경영소득과-1884호. 수액의 채취 및 관리지침.(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05&mn=KFS_06_03_04&nttId=56006 (2012. 11. 09. 기준).)
  17. 김철수, 곽애경. 1994a. 한국생태학회지 17(3): 333-344.
  18. 김철수, 곽애경. 1994b. 한국생태학회지, 17(4): 533-545.
  19. 이경준, 차윤정, 박종영, 박정호. 1995. 서울대학교 농과 대학 연습림보고 31: 1-16.
  20. 안종만, 강학모, 김준선. 1998. 한국임학회지 87(3): 391-403.
  21. 박형순, 송원도, 나천수. 1989. 임업육종연구보고 25: 30-34.
  22. 윤승락, 조종수, 김태옥. 1992. 목재공학 20(4): 15-20.
  23. 조남석, 김홍은, 민두식, 박철하. 1998. 목재공학 26(3): 93-99.

Cited by

  1. Sap Outflow Characteristics of Walnut Tree (Juglans sinensis Dode) vol.27, pp.2, 2014, https://doi.org/10.7732/kjpr.2014.27.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