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ning of 'Musicing' to the Children -Centered on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ies-

유아들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의 의미 -통합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 김수임 (대구공업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2.08.08
  • Accepted : 2012.10.11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what 'musicing' means to children on the basis of musical experiences - singing, listening, body expression, learning rhythms and time, playing instruments - in the children's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ie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5^{th}$, 2011 to November $25^{th}$, 2011, on 15 4-years-old children in Haetnim-class, in S nursery, in the city of D. The observations were recorded in the field and materialized,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doing music' to children means 'making movements,' 'sharing emotions through imitation,' 'fun activity that one can look forward to,' 'musical instruments as playthings,' and 'finding 'the true m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통합 음악활동 중에 나타나는 음악적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진정한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유아음악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모색과 질적으로 보다 우수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9월 5일부터 11월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시에 소재하고 있는 S 어린이집 만 4세 햇님반 유아 1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관찰 내용은 현장 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음악적 경험의 범주-노래 부르기, 음악듣기, 신체표현하기, 리듬 및 박자 익히기, 악기 연주하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의미는 '움직임 만들기'와 '따라 하기'를 통한 마음의 주고받기', '즐겁고 기대되는 놀이', '악기는 곧 놀잇감', 그리고 '진짜로서의 '나'를 찾아가기'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음악교육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5.
  2. 길병휘, 김만의, 류성림, 석문주, 송언근, 이명숙, 이종일, 정용교, 조영남, 조용기, 최신일, 최창우, 교육연구의 질적접근, 교육과학사, 2001.
  3. 김기예, 이소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능력에 따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 상호작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67-197, 2007.
  4. 석문주, "음악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32권, pp.31-63, 2007.
  5.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6. 심성경, 이희자, 이선경, 김경의, 이효숙, 박주희,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12.
  7. 윤은미,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93-120, 2007.
  8. 이민정, "유아 음악활동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제5권, 제2호, pp.55-82, 2002.
  9. 이영, 유애열,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의 이론과 실제, 융성출판사, 1985.
  10. 이태분, 신인숙, "상호작용에 의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제32권, 2007.
  11. 임은애, "통합음악교육을 통한 유아의 음악적 흥미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음악교육연구, 제34권, pp.87-114, 2008.
  12. 정진원, "통합교과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음악지도에서의 의미 탐색", 음악교육연구, 제34권, pp.139-169, 2008.
  13.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7.
  14. 이희봉 (역), 문화탐구를 위한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 1988.
  15. D. J. Elliott, "Rethinking music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Music Teacher Education, Vol.2, No.1, pp.6-15, 1992. https://doi.org/10.1177/105708379200200103
  16. D. J. Elliott, Music matt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7. J. C. Raisner, The effect of rhythmic music activities upon language acquisition with four years ol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