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 of Natural Resources in UNESCO Sacred Natural Site, South Korea -Focusing on the Natural Monument Plants-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 김효정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2.09.28
  • Accepted : 2012.10.31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increasing interest in Sacred natural sites. Sacred natural sites areas defined as "areas of land or water having special spiritual significance to a specific ethnicity or community. This research studies theoretically about the concept and value, the management principle of Sacred natural sites. In addition, status of the domestic natural monument plants that can applicate the values of the Sacred natural sites were analyz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scanned. In analysis, 63 natural monument plants could be corresponded also they have biodiversity valu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s, cultural values, tour resources values. These are same as the general values of sacred natural site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s a basis to register of sacred natural sites in korea. This study has the importance that plant of natural monuments of view point that natural sacred sites out of the importance internationally conditions. A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ascertain natural sacred sites would getting concertely and practical case study.

최근 자연성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자연성지란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구역으로서 정의된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자연성지에 대한 개념과 가치, 관리원칙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자연성지의 가치를 적용 가능한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 중 63건이 이에 해당되었으며, 생물다양성, 문화성, 경관 및 미적 가치와 함께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자연성지의 가치와 일치하는 것이었으며, 향후 우리나라 자연성지 등재 작업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제적으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자연성지를 국내 천연기념물 식물 측면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해야 하는지 보여주었다는데 의의를 지니며, 향후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D. Harmon and A. Putney, The Full Value of Parks: From Economics to the Intangible. Lanham, MD, USA: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2003.
  2. 김종원, "임정철 전통 마을숲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고찰", 한국학논집, 제33권, pp.81-112, 2006.
  3. N. Dudley, L. Higgins-Zogib, and S. Mansourian, "Beyond Belief, Linking faiths and protected areas to support biodiversity conservation", A research report by WWF, Equilibrium and The Alliance of Religions and Conservation (ARC). Available at: http://assets.panda.org/downloads/beyondbelief.pdf 2005.
  4. IUCN, Sacred Natural Sites Guidelines for Protected Area Managers, 2008.
  5. P. S. Ramakrishnan, K. G. Saxena, and U. M. Chandrashekara, (Eds). Conserving the Sacred for Biodiversity Management, NewDelhi, India: UNESCO and Oxford and IBH Publishers, 1998.
  6. P. S. Ramakrishnan, "Conserving the sacred: The protective impulse and the origins of modern protected areas," In Harmon and Putney, NewDelhi, India: UNESCO and Oxford and IBH Publishers. 2003.
  7. 김효정, 이원호, 민호정, "인지지도 분석으로 나타나는 당산목의 마을내 영향권역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09.
  8. 국립문화재연구소, 천연기념물 식물 입지환경 및 관리개선방안 연구 보고서, 한국칼라, 2011.
  9. 최재웅, "농어촌 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논문지", 제27권, 제1호, pp.35-47, 2009
  10. 최재웅, "당산숲 구성요소인 돌탑의 기원유래 고찰-안동 서지리 성황당 돌탑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논문지, 제28권, 제3호, pp.98-104, 2010.
  11. 문화재청, 문화재관계법령집, 부운디자인, 2011.
  12. 이희경, 안득수, "향토지역축제 운영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논문지, 제30권, 제1호, pp.103-112, 2012.
  13. 김효정, 김재웅, "지역축제의 브랜드가치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당산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국제심포지엄 논문집, 2012.
  14. 구본식, 현대가톨릭사상, 제27호. pp.35-80, 2002.
  15. R. Oursel. Vie die Pellegrinaggio e Santuari, Jack book, 1998.
  16. 김지원, 류지성,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156-17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156
  17. 심원섭, 최근 관광트렌드 변화와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18. 류재숙, 임재필, "관광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관광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439-45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439
  19. 김재곤, 송경숙,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434-44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434

Cited by

  1.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cheme of Landscape Management for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 in Dangin-ri, Wando-gun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4.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