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간의 관계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10.24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an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in community-dwelling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65 participants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y to December, 2011. First, the mean of self-esteem was 3.52, social support 3.49, and state anxiety 2.47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r=.286, p=.021),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tate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780, p=<.00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r=-.425, p=<.001). Self-esteem for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in the study was confirmed as the primary important concep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ate anxiety was verified as significant. Therefore,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mprovement, and state anxiety decrease of unmarried mother raising a child.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 65명을 대상으로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상태불안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재가 양육미혼모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 3.52점, 사회적지지 3.49점, 상태불안 2.47점으로 중간수준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은 연령, 아버지의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지지는 연령, 평소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태불안은 연령, 평소 피로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r=.286, p=.021)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자아존중감과 상태불안(r=-.780, p=<.001) 그리고 사회적지지와 상태불안(r=-.425, p=<.001)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에 대한 영향 변수로서 상태불안과 사회적지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재가 양육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키고 상태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성가족부,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2000.
  2. NAS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NASW Press, 1995.
  3. 이명희, 자녀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경험,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7.
  4. 김혜선, 김은하, "미혼 양육모의 양육결정 체험: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373-393, 2006.
  5. 최양자, "미혼모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31-341, 2004.
  6. 노승미, 미혼모가 된 과정과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02.
  7. 여성가족부, 미혼모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2005.
  8.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 늘푸른 포럼: 청소년 양육미혼모의 삶과 미래-청소년 양육미혼모 실태조사 보고, 서울시 늘푸른여성지원센터, 2008.
  9. 이재정, 양육미혼모의 욕구에 대한 질적분석과 사회복지실천방안,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3.
  10. 한국여성개발원,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984.
  11. C. Morgan, G. N. Chapar, and M. Fisher, "Psychoso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Teenage Pregnancy," Adolescence, Vol.30, No.2, p.277, 1995.
  12. 임선희, 시설 입소 미혼양육모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사회적지지 실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07.
  13. 안재진, 김지혜,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61-87, 2004.
  14. 문태정, 미혼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천안, 2004.
  15. 이지연, 시설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1.
  16. 배미영, 미혼모 발생요인 분석. 미혼모집단과 비교집단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00.
  17. R. J. Turner, D. A. Lloyd, and P. Roszell, "Personal Resources and the Social Distribution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7, No.5, pp.643-672, 1999. https://doi.org/10.1023/A:1022189904602
  18. B. L. Moran and D. L. DuBois,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o Problem Behavior: Investigation of Differing Models,"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2, No.4, pp.407-435, 2002. https://doi.org/10.1177/027243102237190
  19. 이명희, "미혼모에 관한 국내 논문 분석",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제7권, 제1호, pp.73-88, 2004.
  20. NAS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9th, Washington DC: NASW Press, 1995.
  21.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1979.
  2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3. 문태정, 미혼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 2003.
  24.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25.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85.
  26. C. D. Spielberger, "Anxiety o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Vol.1, pp.488-493, NY: Academic Press, 1972.
  27.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21권, 제11호, pp.69-75, 1978.
  28. F. Faul, E. Erdfe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ast$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9. 김연희, 음악치료가 미혼모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0. 최유리, 음악활동이 미혼모의 불안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1. 김상옥,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2. 김진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3. 고은주,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한영주, 10대와 20대 미혼모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5. 최연경,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6. 김명숙, 사회적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7. C. Schaefer, J. C. Coyne, and R. S. Lazarus, "The health-relate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Vol.4, No.4, pp.381-406, 1981. https://doi.org/10.1007/BF00846149
  38. 이창숙, 통합감각프로그램이 혈액투석 환자의 상태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양미선, 웃음요법이 척추수술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0. 구승신, 정옥희, 장성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9호, pp.225-23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25

Cited by

  1.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for Single Parent on their will of Independenc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vol.23, pp.1, 2018, https://doi.org/10.13049/kfwa.2018.23.1.6
  2. Factors Influencing Unmarried Mothers' Parenting Stress: Based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erception vol.24, pp.2, 2018, https://doi.org/10.4069/kjwhn.2018.24.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