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ility adapt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ility adaptation and the potential affective factors; ADL, self-efficacy, and quality of care facility, and to identify the affective factors on facility adaptation for elders in long-term care fac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77 none dementia elders over 65 in 9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Jan.2, 2011 to March 15, 2011.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t/F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stepwis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acility adapt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dmission decision maker(p=.004), religion(p=.027), and motive of admission(p=.009). And facility adaptation has weakly correlated with ADL and quality of care facility. The affective adaptation factors were decision maker, motive of admission, personal interview, relig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ut showed 22.8% of explanation. Thu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s for nursing intervention supporting elders' care facility adaptation.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시설적응 특성, 시설적응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및 시설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1년 1월 2일부터 3월 15일까지, 수도권 소재 9곳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인지기능이 정상인 65세 이상 노인 17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F 검정,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의 적응은 입소결정자(p=.004), 종교(p=.027), 입소동기(p=.009)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시설의 적응은 일상수행능력, 시설의 질과 약한 순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요인으로 입소결정자, 입소동기 개인면담, 종교, 지각한 건강상태가 나타났으며 22.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설입소 노인의 시설적응을 돕고 시설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