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ecialized Job Drama's Traits and Aspects of Development in 2000's

2000년대 전문직 드라마의 특징과 발전 양상

  • 이원 (인천가톨릭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2.09.28
  • Accepted : 2012.11.12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The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has increased the number of the specialized job drama in the programming in 2000's, for overcoming the limit of the materials and reflecting the new sociocultural phenomenon valuing the specialized job. This drama benefits from good audience and huge fans, while the low average rate of audience shows the limit of competitiveness of this new genre. The text analysis clarifies three traits of the specialized job drama. At first, this genre is characterized by the variety of materials and the attempt of realistic description. Then, its narrative structure is organized so as to develop a story based rather on the success of career than on the relation of love. Finally, its last trait lives in the character of the heroes which is a creation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2000년대 후반기에 지상파 방송은 기존 드라마 소재의 진부함을 극복하고 전문직을 선호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전문직 드라마를 대거 편성하였다. 일부 전문직 드라마는 좋은 시청률을 기록했으며 마니아층을 형성할 만큼 성공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인 시청률은 낮은 편이며 폭넓은 시청층을 껴안는데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전문직 드라마의 특성은 우선 매우 다양한 전문직 소재를 다루고 있고 직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매우 세부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 전문직 소재는 전문직업의 삶과 성공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의 창작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멜로 중심 서사구조에서 직업 중심의 서사구조로 유인하는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구조의 특징과 맞물려 전문직 드라마만의 고유한 캐릭터 창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F. Jost, Introduction a l'analyse de la television, Ellipses, 1999.
  2. 윤호진, 디지털시대 TV드라마의 위상과 전망: 한류에서 HD까지, 한국방송영상진흥원, 2005.
  3. 최원석, "기형적 제작비 구조 무너지는 드라마 제작 시스템", 방송문화, 제321호, pp.2-11, 2008.
  4. 황인성, "'트렌디 드라마'의 서사구조적 특징과 텍스트의 즐거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5호, pp.221-248, 1999.
  5. 유진희,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02-1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102
  6. 신주진, 29인의 드라마 작가를 말하다, 밈, 2009.
  7. 조민준, "트렌디 멜로에 대한 반작용 시청률 확보가 현실적 제약-전문직 드라마의 성공과 딜레마", 신문과 방송, pp.116-119, 2008(11).
  8. http://mediaus.tistory.com/131
  9. 정영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시대 지형과 역사성",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84-108, 2009.
  10. 서상국, "수용소 문학: 장르화와 그 특성", 슬라브학보, 제12권, 제2호, pp.1-20, 1999.
  11. U. Eco, "Innovation et repetition : entre esthetique moderne et post-moderne," Reseaux, No.68, pp.9-26, 1994.
  12. H. R, Jauss, Pour une esthetique de la reception, Gallimard, 1978.
  13. 이영미, "전문직 드라마의 불시착과 새로운 경향", 황해문화, 제66권, pp.304-317, 2010.
  14. MBC시청자연구소, 드라마 성공 모델 분석-최근 5년간의 방송 3사 드라마를 중심으로, MBC, 2006.
  15. 권호영, 박웅진, 윤석진, 김숙, 드라마 성공 요인분석,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16. 박덕춘, "TV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159-167,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0.159
  17. 움베르토 에코, 김운찬 역,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 열린책들, 1994.
  18. 움베르토 에코, 윤종태 역, 매스컴과 미학, 열린책들,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