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연구

Study on the Baekje's Cotton Fabrics Excavated in Neungsan-ri Temple Site

  • 심연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 유지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 남궁승 (국립부여박물관 보존과학센터)
  • Sim, Yeon Ok (Dept. of Traditional Arts and Crafts,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Yong Jae (Dept. of Conservation Scienc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Yu, Ji A (Institute of Conservation Scienc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Namgung, Seung (Conservation Science Center, Buyeo National Museum)
  • 투고 : 2011.05.14
  • 심사 : 2011.08.08
  • 발행 : 2011.09.30

초록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실시된 부여 능산리 사지 6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후 보존 처리를 마치고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의 과학적 동정을 위해 비파괴적 화학적 형태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삼국시대 '백첩포'와 고려 말 '목면'의 유입경로와 특징 등을 밝히고자 백제 면직물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적외선 흡광 영역 및 정색 반응 등에서 식물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특징이 나타났으며 형태학적 분석에서 면 섬유의 특징인 천연 꼬임과 중공이 뚜렷이 발견됨에 따라 면직물로 분석되었다. 백제 면직물은 축면의 면직물로 이제까지 면직물의 축면직물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며 이러한 면직물이 백제지역에서 제직되었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힐 수 없으나, 백제지역은 마한시대부터 견솜으로 실을 자아 직물을 제직했다는 기록이 있어 오랜 세월 축적된 제사기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삼국시대 면직물이 만들어지고 사용되었다는 문헌의 기록은 있으나 실증적 자료가 국내에 출토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백제 면직물의 가설을 실증적으로 확인시켜주는 자료로써 그 역사적 가치와 의의가 매우 크다. 향후 각 지역의 고대 목화종자와의 비교 분석 연구 등을 통해 백제 면직물의 품종과 고대 한반도 유입경로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Baekje's cotton fabrics were excavated from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September 1999-April 2000) and stored at Buyeo National Museum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is study, it carred out non-destructive, chemical and morphological analysis for fiber identification, also considered on influx, features and difference between the 'Baek-cheop-po(Three kingdom period's cotton fiber)' and 'Mok-myeon(imported by Munikjeom, late Korea dynasty)'. As a result, the fiber proved cellulose fiber through analytical researches like color reaction, FT-IR(chemical analysis). It was also confirmed lumens, typical dimensional structure(morphological analysis) as an features of cotton fiber. The fiber was the first evidence in ancient Korea's cotton. But it can not prove that whether weaving were made in Baekje's area. However there were documentation that people in Beakje make cloth to silk fabric from 'Mahan period'. We can suppose that they have had an old weaving techniques. This study has a great historical, academic values as the only evidence for the hypothesis of a weaving technique of the Baekje's cotton. Through comparison to each region's ancient cottons, we can investigate the species of Baekje's cotton and ancient Korea cotton's influx.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