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act

시적 행위로서의 도덕과 수업

  • Received : 2011.01.05
  • Accepted : 2011.03.0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moral instruction,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is cultivate students' meaningful moral knowing. To obtain this purpose, generally systems approach has been adopted and used in moral instruction. Systems approach has emphasized efficient designs which do not occur incidental learning that does not contribute to obtain learning objectives. However, moral meaning may occur to the subject of knowing, then occurrence of coincidence can not be excluded. If we approach to moral instruction with operative and engineering ways, we may convey the learning object but it won't be received meaningfully. Because of such problem, moral instruction has been requir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contrary to the systems approach. Above all we need to reconsider the logic of explanation based on the systems approach. Because the moral instruction is understood that it is a systematic and operative act according to the logic of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logic of explanation, education is an act that conveys the teachers' knowledge to students who have inferior knowledge to teachers'. During this process, students' interpretation has been overlooked. In moral instruction, the teachers' interpretation of moral meaning can occur and extend by students' interpretation. When we understand moral instruction as the course of alliance between interpretation, it could be stood out that teaching as a symbol, constitution of teaching text as a vacuum, learning as a coincidence. When we stand out these aspects, the moral instruction could be understand as a poetic act. An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we can abstract specific resemblances between the poetic act and the moral instruction. There are semantic invariants and semantic variants in the teaching text of moral instruction. The semantic variants premise uncertainty. The limitation, that is, semantic invariants and the openness which is possible within semantic variants are changed to the moral instruction by students' response. It is essential that a selective attention as esthetic transaction that could be changed from text to poet. Like this, we need to take notice of instructive aspects not to means for reaching learning objectives but to act for being possible disinterested experiential learning.

도덕과 수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미 있는 도덕적 앎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덕적 의미는 인식주체에게서 발생하는 것이며, 의미 발생에서 우연은 배제될 수 없다. 만약 우연을 배제하고 조작적이고 공학적으로 도덕과 수업에 접근한다면, 학습내용이 전달 될 수는 있어도 의미 있게 수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난점으로 인해 도덕과 수업에서는 체제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요청한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에 전제된 설명의 논리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수업이 체제적이고 조작적인 행위로 이해되는 배경에는 설명의 논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명의 논리는 학생보다 우월한 지능을 가진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로 교육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달에 대한 학생의 번역은 간과된다.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에 대한 교사의 번역은 학생의 번역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며, 나아가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처럼 도덕과 수업을 번역과 번역으로 연결된 과정으로 이해할 때, 체제적 접근에서 간과하는 상징으로서의 교수, 공백으로서의 교수텍스트 구성, 우연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은 재조명될 수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이러한 측면들을 부각시키면, 도덕과 수업은 일종의 시 행위와 같다. 이러한 이해에 터하여 시 행위와 도덕과 수업의 닮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시 행위와 닮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텍스트는 불변체적 의미와 더불어 불확정성을 전제하는 변체적 의미를 갖는다. 도덕과 교수텍스트가 갖는 불변체적 의미라는 제약성과 변체적 의미에서 가능한 개방성은 학생의 반응에 의해 도덕적인 수업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텍스트와 독자가 심미적으로 상호 교통하는 의식에서 비롯되듯이, 도덕과 학습에서 교수텍스트가 의미 있는 앎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의식하지 않는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