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blem of Xing and Qizhi in Cheng Yi's Philosophy

정이(程?) 철학에서 성(性)과 기질(氣質)의 문제

  • Received : 2011.02.23
  • Accepted : 2011.03.0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Cheng Yi(程?, 1033~1107) understood that nature is full of "changes(易)". And he noted that human being as part of nature also exists only in a series of changes, i.e. birth, growth, extinction and death. All things including human being arise from the same principle, or "Heavenly Principle." Hence human being can fundamentally be one with all other beings, or nature. It is called "Unity of all things(萬物一體)" and "Unity of heaven and human(天人合一)." This philosophical perspective cannot be regarded as being unique to Cheng only; neo-Confucian predecessors called "the five masters of the Northern Song(北宋五子)" anticipated Cheng's vision already. Nevertheless, Cheng elaborated on the shared vision, revealing his philosophical uniqueness. Cheng maintains that only human being receives the principle in the unstained form, and thereby is capable of being one with nature. The one who realizes her/his potential to be one with nature is a sage(聖人); for Cheng, the order and pattern found in nature is nothing other than moral principle that human beings have to live up to and vice versa. Cheng's idea on the principle which human being receives from Heaven no doubt relates to Mencian notion of the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性善); the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 is no other than Heavenly Principle, and to become a sage depends on whether one can realize her/his potential - human nature, i.e. Heavenly Principle in her/himself. For Cheng, human nature tantamount to Heavenly Principle has no evil quality; all the evil in the world comes from imperfect "physical endowment(氣質)," or "capacity(才)" which is various from person to person, making various personalities. Accordingly, the task of moral cultivation in Cheng's theory can translate into the matter of rectification of one's physical endowment.

정이(程?)는 변화(變化)의 세계, 즉 '역(易)'의 세계로 자연(自然)을 바라보았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흘러가는 자연 안에 있는 인간(人間)도 자연의 일부로서 생장(生長) 소멸(消滅)하는 존재 중에 하나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면서 인간을 포함한 만물(萬物)이 모두 '천리(天理)'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며, 이를 '만물일체(萬物一體)', '천인합일(天人合一)' 등으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정이의 독창적인 사유가 아니라 '북송오자(北宋五子)'와 공유한 것이지만, 이를 해명하는 방식에 있어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정이는 만물이 동일한 리(理)를 갖고 태어나지만, 인간만이 완전하게 천리(天理)를 체화하여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자각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자연은 변화하면서도 스스로 질서를 갖추고 있는데, 정이는 그러한 자연의 질서인 천리를 인간의 질서인 인륜(人倫)과 유비시키고, 인륜을 체화하여 자연과 하나가 된 경지에 이른 사람을 '성인(聖人)'으로 지칭하였다. 성인(聖人)은 타고나는 측면도 있지만, 누구나 동일한 선(善)한 성(性)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부단한 수양을 통해서 성인(聖人)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정이의 이와 같은 철학적 구상은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의 철저한 계승에서 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이는 '성선설(性善說)'이 유학의 본령이며, 자신이 이를 계승했다고 자부하였다. 다만 맹자에게는 성선의 근거를 해명하는데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정이는 성(性)을 곧 순선(純善)한 리(理)로 보고[성즉리(性卽理)] 성인(聖人)부터 보통의 사람까지 같은 성(性)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하면서 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정이가 말하는 성(性)은 본연(本然)의 선한 성(性)으로서 악(惡) 또는 불선(不善)이 개입할 여지가 없는 것이었다. 그래서 악은 성(性)과는 차원을 달리 하는 불완전한 기질(氣質) 즉 '재(才)'의 문제로 전환되게 되었으며, 정이에게는 이제 이러한 불완전한 기질(氣質)을 바로잡아 본래의 올바른 성(性)을 회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양의 방법을 제시해야 할 과제가 주어지게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