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single-mother families with low income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Pyun, Ho-Soon (Department of Social Work, College of Social Science, Sungkyul University) ;
  • Choi, Jeong-Kyun (Department of Social Work, Winona State University)
  • 변호순 (성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
  • 최정균 (미국 위노나주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low income female-headed families. Informed by the stress-coping theory, family process mode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related to social support, this study estimate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hild behavior problem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particular, we focus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outcomes and social support i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first three waves of longitudinal data from a subsample of 1,315 single and non-cohabiting low-income mothers in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 were utilized i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 behavior problems and also in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 behavior problem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ut rather had an indirect effect, which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트레스-대응모델과 가족과정모델, 사회적 지지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기초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발달에 영향을 제공하는 직접효과와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취약가족아동복지연구의 종단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전체 1,315명의 저소득 미혼모가구와 빈곤아동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아동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발견되었다.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아동인지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제공하지는 않으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문제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경제적 환경을 개선하고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와 서비스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