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Maternal Stress on Parenting Efficacy -An Analysis of Path Difference between Income Groups-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소득 집단 간 경로차이 분석-

  • Kim, Jean-Ie (Dept. of Social Welfare, Baekseok University)
  • 김진이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1.07.15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Using data collected from Korean mothers (N=429) with preschool children (aged 3 to 5 years) in 12 day care centers in Seou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different pathways acute and chronic stress affect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ccording to the income group to which they belong. Analytic results show mothers in the low-income group show higher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than mothers in the middle-income group, and the former also show more frequent and higher levels of acute and chronic stress than the latter. The mediation model results show that acute stress and chronic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parenting efficacy, but rather indirectly affect parenting efficacy through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cute stress and chronic stress are both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chronic stress exerting greater influence. When the total effect was analyzed, chronic stress has a greater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than acute stress. The effect of chronic stress o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is greater on low-income mothers than middle-income mothers, while the effect of acute stress o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 of those symptoms on parenting efficacy are greater on middle class families than low-income families. In order to maximize effective parenting in high-risk situations,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mothers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environmental difficulties they face. Based on the results, policies to support women and parents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울시내 12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N=429)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만성적 스트레스의 구성요인이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소득집단을 비교하며 차이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소득하위집단 어머니들은 소득상위집단 어머니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우울증상을 보였으며, 소득하위집단 어머니들이 생활사건스트레스와 만성적 스트레스의 경험빈도와 심각성에서 소득상위집단 어머니들보다 양적 차이를 보여 심각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만성적 스트레스가 직접적으로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어머니 우울증상을 매개로 하여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만성적 스트레스 둘 다 우울증상의 유의한 영향요인들이었으며, 특히 만성적 스트레스는 더 큰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효과 분석에서도 부모효능감에 대한 영향은 생활사건 스트레스보다 만성적 스트레스에 의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만성적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소득하위집단 가정이 소득상위집단 가정보다 컸으며, 어머니의 우울증상에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의 영향력과 부모효능감에의 어머니의 우울증상의 영향력은 소득상위집단 가정이 소득하위집단 가정보다 더 컸다. 고위험 상황에서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어머니들은 환경적 어려움에 반하여 우선 그들의 심리적 복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나 아동에 대한 향후 사회적 지원 대책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