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o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through A College Practice

  • 투고 : 2011.10.28
  • 심사 : 2011.12.08
  • 발행 : 2011.12.30

초록

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기대와 비중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노력해 왔으나, 여전히 대학교육과 사회적 요구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육의 주요한 결정 주체인 교수와 학생이 갖는 직업기초능력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여, 대학 교육이 학생 및 교수, 그리고 사회적 요구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대학 학생 475명과 교수 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개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설문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중응답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그리고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직업기초능력 교육의 인식과 요구에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로 취업과 미래 준비를 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와 취업과 미래 준비를 위해 가장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곳과 방법, 직업기초능력 개발 혹은 취업을 위한 노력의 정도, 직업기초능력 개발 혹은 취업을 위한 구체적 노력 요인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에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pectation and importance for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the university have been greater.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various efforts of the university for its social accountability that it should cultivate the qualified person company requires, there is a bit gap betwee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al dema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students and teachers to the key competencies and then offer a help to develop and operate strategies with which university education can be prepared for the demand of teachers, students and society.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to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responded by 475 students and 58 professors as a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test. Also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 by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key competencies education, particularly to the items questioning the degree of difficulty in preparing for future employment,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rom which they can obtain aids, the degree of efforts they put for the key competencies development and employment, and the main factors for the key competencies development and employment. We can expect to offer an implication for the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perception and demand of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key competenci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부산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