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Rights-based Approach towar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Canada's ODA Accountability Act

국제개발협력의 인권적 접근과 캐나다 ODA책무법

  • Soh, Hyuk-Sang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Civic Eng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손혁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 Received : 2011.05.10
  • Accepted : 2011.06.1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Canada became the first OECD/DAC member state that legislated the ODA Accountability Act in 2008, which prescribe Canada ODA policies to meet the guidelines and norm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while other OECD/DAC member states was jus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biding by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Paying attention to the Canadian case,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under what structural environments and process this Act was passed.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egislation of the ODA Accountability Act is closely related with Canada's international position as middle power and diplomatic strategies. Bring up the human security issues as a niche market, Canada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power state by emphasizing human rights agenda as new foreign policy strategies. Reflecting on the negative outcomes from neoliberal aid policy of structural adjustment and promoting the new aid norms in post cold war era would also help foster the enabling environment for the value-oriented aid policies and enactment of the Accountability Act.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ere also playing catalyst role in constructing Canada's state identity of human rights defender.

인권과 개발의 상관성에 대한 담론은 크게 인권과 개발이 이중적(duplicative)이거나 상호경쟁관계로 가정하는 입장과 인권과 개발 서로 간에 상호 보완적 관계라는 입장으로 구분된다. 국제인권규범을 준수하고 개발원조정책에서 인권적 접근을 시도하려는 노력과 빈곤과 인권의 내재적 관계를 접어두고 성장과 개발을 우선시하는 정책간의 긴장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OECD/DAC 국가 중 유일하게 캐나다가 2008년 ODA가 국제인권기준의 가치와 합의에 충족해야 하는 점을 규정한 ODA 책무법을 채택하였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하여 다른 선진공여국과는 달리 중견국가(middle power)로서 우리와 비슷한 경제규모와 정치적 위상을 가진 캐나다가 어떠한 배경과 과정을 거쳐 인권을 우선시 하는 대외원조법안을 제정하였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캐나다는 인간안보 영역을 틈새영역으로 생각하며 신 외교 방침의 일환으로 인권을 강조하는 중견국가로써의 특징을 보여준다. 탈냉전과 함께 규범을 창출하고 촉진하는 중견국가로서의 외교노선 수립과 함께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원조정책에 대한 반성 또한 가치중심적 대외원조정책 수립과 인권을 강조하는 법안을 제정하는데 호의적인 환경 속에서 '선택적 국제주의'라는 틈새외교가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전통적으로 북유럽국가와 함께 '인도적 목적'의 ODA를 중시하고 있는 캐나다는 인권을 표방하는 원조정책을 통해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시민사회의 적극적 동의와 함께 ODA책무법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