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개념 지도를 위한 모델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models for teaching the concept of function

  • 투고 : 2011.08.07
  • 심사 : 2011.10.04
  • 발행 : 2011.11.30

초록

수학사적으로 함수개념은 비례관계, 종속변수, 식, 대응 등으로 발달되어왔으며 수학교육과정에서는 3차, 7차, 7차 개정안에서 중학교 1학년에서 함수개념 도입을 위한 함수의 정의에서 강조점 바뀌었고 이러한 수정의 핵심은 "종속"과 "대응"이다. 본 연구는 종속과 대응에 초점을 둔 수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각각을 대표할 수 있는 모델로서 물통 모델과 자판기 모델을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함수의 개념과 함수의 표현에 대한 2차시 수업을 실시하고 형성평가 문항분석을 통하여 두 모델의 차이점과 효율성을 파악하였으며, 3개월 후 파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판기모델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함수의 정의 이해 뿐 아니라 특히 개념이미지를 만들고 회상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물통모델은 정의역의 모든 원소가 종속변수에 대응 된다는 "임의성"을 이해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나타냈지만, 함수식의 표현과 관련해서는 좋은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ed finding effective models for the teaching the concept of function. We selected two models. One is discrete model which focuses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 of the elements of the sets(domain and range). The other is continuous model which focuses on the dependent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connected in variable phenomenon. A vending machine model was used as a discrete model, and a water bucket model was used as a continuous model in our study. We taught 2 times about the concept of function using two models to the 60 students (7th grade, 2 classes) living in Taebak city, and tested it twice, after class and about 3 months later. A vending machine model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 of function in the 7th grade math textbook. Also, it was helpful to making concept image and to recalling it.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used the water bucket model had a difficultly in understanding the all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domain correspon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s. But they excelled in tasks making formula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changing situ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옥기, 정순영, 이환철중학교 수학 7-가, (주) 두산, 2000.
  2.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해설, 서울 : 대한교과서,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서울 : (주) 미래엔 컬쳐그룹, 2008.
  4.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수학,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1997.
  5.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007.
  6. 김남희외 5명,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 경문사, 2006.
  7. 김부미, 중1 함수 영역에 대한 개정 교과서 도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3(4), pp. 909-935, 2009.
  8. 김소영, 허혜자, 함수에 대한 오개념 유형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교육과학논문집, 14(2008).
  9. 박교식, 함수 개념 지도의 교수현상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1992.
  10. 박교식, 우리 나라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7-가 단계 내용 중 함수 부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학교수학, 1(2)(1999), pp. 401-415.
  11. 안범희, 학교 학습심리학, 강원 : 도서출판 하우, 1993.
  12. 우정호 외 9명, 중학교 수학 1 교과서, 두산동아 (주), 2008.
  13. 우정호 외 9명, 중학교 수학 1 교사용 지도서, 두산동아 (주), 2008.
  14. 우정호,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15. 장혜원, 수학 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표상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16. 정영옥,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7. 정현숙, 교육심리학, 서울 : 동문사, 2001.
  18. 조완영, 양재식,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미지와 함수정의 능력, 수학교육논문집, 제 15집 (2003). 한국수학교육학회.
  19. 현순영, 함수개념의 지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0. Selden, A., & Selden, J., "Research perspectives on conceptions of function summarry and overview",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and Report Series. Washington DC: Mathi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2.
  21. Sfard, A., "Operational origins of mathematical objects and the quamdary of reification- The case of functoin",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and Report Series. Washington DC: Mathi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2.
  22. Sierpinska, A., "On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unction",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and Report Series, 1992.
  23. Tall, D. & Vinner, S.,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3)(1981), pp. 151-169. https://doi.org/10.1007/BF00305619
  24. Tall, D., 고등수학적 사고, (류희찬 외 2역), 서울: 경문사, 2003. (영어 원작은 1991년 출판)
  25. Vinner, S., "The function concept as a prototype for problems in mathematics learning",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 MAA Notes and Report Series. Washington DC: Mathi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