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Right Practice and Self-Concept on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청소년의 권리실제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Ji, Eun-Ju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
  • Yang, Sung-Eun (Consumer & Child Studies Major, Inha University)
  • 지은주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Received : 2011.08.26
  • Accepted : 2011.10.22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social skills among adolescent students, by grade gender, rights practice, and self-awareness. It will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rights of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of guaranteed rights for adolescents and social skills. Using questionnaires, a 569 adolesc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s showed higher empathy skills than males did in social skills. In the case of male adolescents, self-control skills among social skills,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Second, practice for rights and self-concept had positive influences on social skills. The higher the practice for rights, the higher cooperation, assertiveness, empathy, and self-control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positive self-concept of physical appearance, gymnastic ability, friends, and honesty, trust and value, indicated a higher assertiveness. The result implied that the adolescents' practice for their rights, self-concept, and social skill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adequate practice for their rights and positive self-concept had influences on their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for adolescents with a low level of social skills to have a satisfactory social life,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their own rights in the right direction and to acquire positive self-concept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소연. (2010).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기술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정미. (2005).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의식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현경. (2009). 유아 사회적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고인숙. (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고진영. (2004). 발달단계별 자아개념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구본용, 김택호, 김인규. (1999). 청소년 또래관계. 제 21 회 청구년 문제 토론 광장 자료집. 서울: 한국 청소년 상담원.
  7. 김난영. (2002). 학생자치활동과 학생권리 실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영. (2006).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사회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영남. (2009).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인식과 권리옹호와 의 관계.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윤정. (1998).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권리에 관한 기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젤나. (2005). 학교에서 아동의 참여권 행사와 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효진. (1999). 청소년의 출생순위와 성에 따른 자아개념, 학교생활 적응 능력 및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남동현. (2010). 참여권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루어이원. (2004). 대만과 한국의 교사 및 아동의 아동권리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문성원. (1996).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K-SSRS) : 중고생용)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지, 15(2).
  16. 박은숙, 조오숙, 김영희. (2009). 부모의 훈육방식과 청소년의 성, 연령, 자아개념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7. 박혜원. (2002).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배문숙. (2003). 청소년의 참여적 권리 확대 방안.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송인섭. (1989). 자아개념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7(1).
  2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0). 인권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오름.
  21. 유지민. (2003). 아동의 권리 인식 및 공감과 권리옹호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선경. (2009).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수연, 문용우. (2002).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권리인식과의 관계 연구. 청소년학연구, 9(1).
  24. 이재연, 강성희. (1997).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아동과 권리, 1(1), 65-83.
  25. 이지수. (2006). 우리나라 청소년의 인권실태 및 인권의식. 아동과 권리, 10(3).
  26. 이진화. (1999).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애착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혜정. (2006).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임승환. (1989). 대면집단에서의 언어반응 변화추세와 자아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임지현. (2009).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장인협, 오정수. (1993). 아동.청소년 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1. 장혜정. (200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성역할 정체감, 자기 통제 및 공격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원식. (1979). 학습부진의 원인규명을 위한 사례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3. 조장은.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이 청소년기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이숙. (2003).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개념, 심리사회적 성숙도와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한영주. (1999). 중고등학교 집단따돌림 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DuBois, D. L., & Hirsch, B. J. (2000).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ce: from stock character to marquee attraction.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1), 5-11. https://doi.org/10.1177/0272431600020001001
  37. Elliott, S. N., Busse, R. T., & Gresham, F. M. (1993). Behavior rating scales: issues or use and development. School psychology review, 22(2), 313.
  38.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 Co., 261-263.
  39. Gresham, F. M., & Elliott, S. N. (1984). Assessment of children's social skills: A review of methodsand issu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3, 292-301.
  40.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41. Gumpel, T. (2007). Are social competence difficulties cause by performance or acpuisition deficits? the importance or self-regulatory mechanisms. Psychology in the School, 44(4), 351-372. https://doi.org/10.1002/pits.20229
  42. Haney, P., & Duriak, J. A. (1998). Changing selfestee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423-433.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704_6
  43. Hart, S. N., & Zeidner, M. (1993). Children's rights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s: Early findings of a cross national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1, 165-188. https://doi.org/10.1163/157181893X00043
  44. Marsh, H. W. (1991).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5 to 8 years of age: measurement and multidimensional stru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377-392. https://doi.org/10.1037/0022-0663.83.3.377
  45. Rogenber,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In R. L. Leaky (e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Academic press, 205-242.
  46. Shavelson, R. J., Hubner, J. J., & Stanton, G. C. (1976). Self-concept: validation if construct interpret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6, 407-441. https://doi.org/10.3102/00346543046003407
  47. Wigfield, A., Eccles, J. S., Maclver, D., Reuman, D. A., & Midgley, C. (1991). Transitions during early adolescence: Changes in children's domain-specific self-perceptions and general self-esteem across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27, 552-565. https://doi.org/10.1037/0012-1649.27.4.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