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romandibular dystonia (OMD) is a form of focal dystonia that affects the masticatory, facial and lingual muscles in any variety of combinations, which results in repetitive involuntary and possibly painful jaw opening, closing, deviation or a combination of these movem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type of OMD patients.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nsecutive OMD patients who visited a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Orofacial Pain Clinic in a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Aug 2007 to Apr 2010. 78 OMD patients were identified with female preponderance (M:F=1:3.6) and a mean age of 72 years. Their mean duration of OMD was about 10 months.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s at the first visit was jaw ache, followed by uncontrolled, repetitive movement of the jaw and/or oral tissues, pain in the oral region(p=0.000). The most common subtype of OMD was lateral jaw-deviation dystonia, followed by combination and jaw-closing dystonia(p=0.001). While no apparent cause was recognized in over 60% of the OMD patients, peripheral trauma including dental treatment such as prosthetic treatment and extraction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s precipitating factor(p=0.000). Medication was the 1st line therapy for our patients and anxiolytics such as clonazepam was given to most of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MD is the disease of the elderly, particularly of women and causes orofacial pain and compromises function of orofacial region. Some patients considered dental treatment a precipitating factor. Dentists, therefore, should have knowledge of symptoms and treatment of OMD.
하악운동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 OMD)은 턱이나 구강조직의 반복적, 불수의적,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정의되며 저작기능과 교합에 문제를 초래하여 치과치료를 어렵게 하고 보철물의 유지곤란을 야기할 뿐 아니라 잦은 구강 연조직 손상이나 만성 안면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치과의사의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OMD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병력기록부상의 관련 항목을 조사하여 OMD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유형을 분석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단국치대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78명의 OMD 환자는 평균 72세의 고령이었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3.6배 많았고, 평균 10개월 이상의 비교적 긴 병력기간을 보였다. 내원한 OMD 환자의 가장 흔한 주소는 턱의 통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빈도가 높은 주소는 턱과 구강조직의 조절 안 되는 반복적인 움직임과 구강조직의 통증이었다(p=0.000). OMD 유형은 페구형(jaw-closing dystonia)이 가장 많았고, 측방운동형(lateral jaw-deviation dystonia)과 복합형(combination dystonia)도 많이 발생하였다(p=0.001). 환자의 60% 이상은 OMD 발생과 관련하여 뚜렷한 원인을 인지하지 못했으나 약 19%의 환자들은 보철치료, 발치 등의 치과치료와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다(p=0.000). 본원에 내원한 환자는 약물치료가 가장 먼저 시도되었고 진정제(clonazepam)가 거의 모든 환자(97%)에서 처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OMD는 뚜렷하게 노인,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턱과 구강조직의 통증을 유발하며 과반수 이상은 뚜렷한 원인을 모르지만 일부 환자들은 치과치료 후에 자신의 문제를 처음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치과의사는 환자를 치료할 때 OMD의 존재를 간과하지 않도록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