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Using Pig Manure Under Aerobic Air Flow Rate During Composting

돈분이용 퇴비화과정에서의 공기공급량별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08.30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the composting characteristics variation accoding to air supply capacity in Pig manure. The composting of pig manure is economical and efficiently process.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was composting reators. Air supply capacity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pig manure mixed with sawdust were regulated at 50, 100, 150 and 200$\ell/m^3$/min. respectively. The obtained results can be followed as bellow; The temperature variations of experimental composting piles during composting for the different of T-1 reach $40^{\circ}C$ in 2 days, T-2, T-3 and T-4 reach $60^{\circ}C$ in 2 days and T-3, T-4 maintained until 8 days. The decreases in water contents per each square meter for the different of T-1 (50 l/$m^3$/min), T-2(100 l/$m^3$/min), T-3(150 l/$m^3$/min) and T-4(200 l/$m^3$/min.), The decreases ratio in water contents was T-1, T-2, T-3 and T-4 were 15.4%, 28.8%, 33.4% and 35.2%. The decreases ratio in weight was T-1, T-2, T-3 and T-4 were 7.6%, 15.6%, 16.8% and 16.9% respectively. The variations of oxygen concentration from composting period in case of oxygen discharge concentration T-1, T-2, T-3 and T-4 were 9 ppm. respectively. Fertilizer components after composting were examined. Nitrogen contents of the T-1, T-2, T-3 and T-4 were 0.45%, 0.44%, 0.42% and 0.44%, and P2O5 contents were T-1, T-2, T-3 and T-4 were 0.37%, 0.41%, 0.42% and 0.44%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mpost curing air supply of air volumes at least 150$\ell$/min/min. or more to supply the aerobic composting pig manure normally are judged to be possible.

스크레퍼 이용 수거된 돈분을 호기성 조건으로 퇴비화 하는 과정에서 공기공급량을 50, 100, 150, 200$\ell/m^3$/min.으로 각각 다르게 하여 퇴비화 하는데 있어서 공기공급량을 다르게 하여 퇴비화기간동안의 퇴비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원료로 사용된 돈분의 수분함량은 85%였으며 수분 조절재로 사용한 톱밥의 수분함량은 35%를 혼합하여 수분 68%로 조정한 후 퇴비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2. 돈분의 호기성 퇴비화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를 조사한 결과 T-1 처리구에서 발효온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T-1 처리구에서는 정상적인 호기성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에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최고온도 도달시간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짧다는 것은 계분의 신속한 퇴비화 및 높은 수분 증발량이 조사되었다. 3. 처리구별 수분 함량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발효 초기의 경우에 공기 공급량을 T-1 처리구에서 1주일이 경과한 후 7.6%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으며, T-2, T-3 및 T-4 처리구에서는 각각 13.2%, 16.8% 및 16.9%로 높은 수분 감소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3 및 T-4 처리구와 나머지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4. 처리구간별 배출되는 가스성분 중에서 산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퇴비화 3일차까지 9 ppm으로 낮은 수치로 조사되어 모든 처리구가 정상적인 호기성 퇴비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 퇴비화 시험 1주일 후의 중량 감소율은 T-1 처리구에서 7.6%로 가장 낮았으며, T-3 및 T-4구에서는 16.8% 및 16.9%로 비슷한 경향이 조사되었다. 6. 퇴비화기간의 경과에 따른 비료성분 및 유기물 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차 발효 후 비료성분 함량은 처리구별로는 T-4 처리구에서 질소성분이 타 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퇴비화 과정에서의 수분 함량 변화에 따라 비료성분의 함량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7. 따라서 돈분을 호기성 방법으로 퇴비화 할 경우 적정 공기공급량은 퇴비더미 $1m^3$당 최소 $1m^3$당 150$\ell$/min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졌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international
  2. Griffin, D. M. 1981b. Water potential as a selective factor in the micrology of solids. In Water Potential Relations Soil Microbiology, SSSA special publication no.9, eds. Parr, J.F., Gardner, W.R. and Elliott, L.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p. 141-151.
  3. Harris, R. F. 1981. In Water Potential Relations in Soil Microbiology, SSSA special publication no.9, eds. Parr, J. F., Gardner, W. R. and Elliott, L. 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p. 23-33.
  4. Haug, R. T. 1993. The practical handbook of composting engineering Lewis publshers. Inc. Ann. Arbor.
  5. Hirai, N. F., V. Chanyasak and H. Kubota. 1983. A standed measurement for compost maturity. Biocycle. 24(6):54-56
  6. Miller, F. C., MacGregor, S. T., Finstein, M. S. and Cirello, J. 1980. Proceedings of the ASCE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Specialty Conferen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New York., p. 40-46.
  7. Miller, F. C. 1984. Therdynamic and matric water potential analysis in field and laboratory scale composting ecosystems, PhD dissertation, Rutgers University, University, University Microfilms, Ann Arbor, MI.
  8. Wysong, M. L. 1976. Czech's solid waste problems at Wauna are reduced by composting. Pulp and Paper., p. 112-113.
  9. Zucconi, F., De Bertoldi, M. 1987. Compost specificaltion for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t from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 : Production Quality and use, Elsevier Applied Science., pp. 30-50.
  10. 곽정훈, 최동윤, 박치호, 정광화, 전병수, 김형호. 2004. 기계교반퇴비화시설에서의 구간별 발효온도에 따른 수분증발량 및 특성변화 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0(3):163-168).
  11. 김은경, 이택순, 서정윤. 1996. 로터리교반식발효시설의 운전조건개선, 한국환경농화학회지 15(3):335-361.
  12. 농림수산식품부. 2011. 축산공무원 연찬회 교재, p1-14.
  13. 오인환, 윤종만. 1997. 가축분뇨의 로타리교반발효건조 기술분석.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2(4):451-458.
  14. 황의영, 황선숙, 남궁완. 1995. 공정조절인자가 분뇨슬러지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폐기물학회지. 12(5):58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