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퇴비와 화학비료 시용이 간척지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in Reclaimed Paddy Field

  • 투고 : 2011.06.02
  • 심사 : 2011.08.21
  • 발행 : 2011.08.30

초록

본 시험은 충남 당진 석문간척지 논에 첨가적인 우분퇴비의 시용을 통하여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논을 이용한 옥수수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석문 송산 간척농지는 1985년에 조성되어 본격적인 벼농사가 이루어진지는 약 5~10년 정도 되었다. 현재도 가뭄에 의한 염해 현상이 나타나고 배수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사료작물 재배지로써는 한계가 많은 간척농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305 ha 중 일부인 149 ha에 옥수수를 파종한 송산 28단지 A와 B 지역, 송산 27단지 A와 B 지역, 송산 42단지 A, B 그리고 C 지역 및 지역송산 43단지 A와 B 지역에서 무작위로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송산 28단지 A와 B 및 송산 27단지 A에서 재배된 P32B33의 건물수량은 ha당 13~15톤으로 송산 27단지 B 보다 약 3~5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송산 42단지 A 및 송산 43단지 A와 B에서 재배된 광평옥의 건물수량은 23~27톤으로 송산 42단지 B와 C 보다 약 15~16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석문 간척농지의 논에서는 도입 품종인 P32B33보다 국내보급 품종인 광평옥이 현저하게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지역간 옥수수의 사료가치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품종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척농지인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료원의 공급보다는 배수가 양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at Dangjin Province in Korea. The cultivars of silage corn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Kwangpyungok and Pioneer (P32B33). The fertilizer was applied according to recommended dose of applicatio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created for farming in 1985 and approximately 5 to 10 years ago rice was cultivated in full-scale. Recently,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has a limitation to cultivate the crops, due to increased salinity caused by drought and poor drainage system. The total area of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305 ha, and silage corn was sown on 149 ha of the reclaimed paddy field in nine regions, such as Songsan 28 A and B, Songsan 27 A and B, Songsan 42 A, B and C, and Songsan 43 A and B.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corn were evaluated collected from each of nine experimental regions. Dry matter (DM) yields of P32B33 in Songsan 28 A and B, and Songsan 27 A were 13 to 15 ton/ha and it was increased 3 to 5 ton/ha as compared to those of Songsan 27 B. DM yields of Kwangpyungok in Songsan 42 A, and Songsan 43 A and B were 23 to 27 ton/ha and it was increased 15 to 16 ton/ha as compared to Songsan 42 A and B. The nutritive value of co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wangpyungok and P32B33, but the yield of Kwangpyungok corn silage was higher compared to P32B33.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drainage system is important to maintain normal growth and productivity of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암, 고서봉, 권찬호, 김문철, 한건준, 김종덕, 이광녕, 신동은, 김종근. 1997. 중북부 및 제주지역에 적합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우량품종 평가. 한초지. 17(4):323-328.
  2. 김원호, 신재순, 임영철, 서 성, 김기용, 이종경. 2005.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초지 25(4):233-238.
  3. 김동암, 조무환, 권찬호, 한건준, 김종관. 1992.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I. 지역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한초지 12(3):161-172.
  4. 농촌진흥청. 2000. 농촌진흥청 표준분석법.
  5. 신재순, 김원호, 윤세형, 서 성. 2007. 간척지 재배에 적합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선발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제27권 제2호 6, pp. 117-122(6pages).
  6.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윤세형, 정의수, 임영철. 2004.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 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초지 24(4):335-340.
  7.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신하용. 2006. 간척지에서 사료용 피 품종들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한초지 26(4):215-220.
  8.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임영철. 2006. 간척지에서 요소 및 유안비료 시용이 총체보리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1):25-30.
  9. 신재순, 이승헌, 김원호, 윤세형, 김종근, 남진우. 2005.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초지 25(2):113-118.
  10. 이규성. 1995. Variability and genetics of salt tolerance in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Los Banos, Laguna, Philippines. p. 112.
  11. 정진일, 유숙종, 오명규, 백남현, 고재권, 이재길. 2002. 벼 생태형별 염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한국작물학회지. 47(6):422-426.
  12. 조남철, 신재순, 김선호, 윤세형, 황보순, 정민웅, 이경동, 김원호, 서 성, 김종근, 송채은, 최기춘. 2010. 간척지에서 SCB 액비를 이용한 여름철 사료작물 재배에 관한 연구. 한초지 30(2):121-126
  13. 지희정, 김원호, 김기용, 이상훈, 윤세형, 임영철. 2009a. 논에서 배수조건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초지 29(4):329-336.
  14. 지희정, 이종경, 김기용, 윤세형, 임영철, 권오도, 이희봉. 2009b.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한초지 29(1):13-18.
  15. 채영암, 방관호, 허정기. 1990. 세포배양에 의한 내염성 벼 품종 육성. IV. F2 세대에서 내염성과 관련된 Proline 함량의 유전분석. 한국육종학회지. 21(4):283-286.
  16. Aldrich, S. R., Scott, W. O. and Hoeft, R. G. 1986. Modern corn production A&L. Publications Inc. Station. Illinois.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8. Goring, H. K. and Van Soest, P. 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19. Holland, C., Kezar, W., Kautz, W. P., Lazowski, E. J., Mahanna, W. C. and Reinhart, R.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Des Moines, 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