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for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Disinfection in Hanwoo Farms

한우농가의 환경시설관리 및 방역실태 분석

  • Kim, Gye-Woong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Kon-Joong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계웅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 김건중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Received : 2011.05.04
  • Accepted : 2011.08.04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ground condition of barn, moisture condition, feeding facilities, disinfection tool, etc. The data from a total of 305 farm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or establishment of managemental target in Hanwoo farm. The ground condition of barn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moderate level" (46.4%). The moisture removal on the ground was conducted with the aid of electric fan (36.4%). The natural wind and sunlight should be used gradually for economic effect in farm. The exchange of floor straw was mostly conducted to remove the bad smell of barn (33.7%). 37.0% of farms had no the electric fan in internal barn, this instrument must be installed for control of body temperature and internal moisture in the future. Most of feeding facilities were operated by hand(88.2%). Modern farms should be installed with automatic feeding system. Farmer's skill of management was evaluated as a "2.80" of 5 points. Accordingly, farmers should be trained with high level of technical competitive skill. In conclusion, Hanwoo farms should be promoted and improved for enhancement of income through introduction to scientifically modern feeding skill.

본 연구는 한우사육 305 농가에 대하여 우사바닥상태, 습기제거방법, 급이시설, 방역실태 등과 같은 사육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농장관리 프로그램에 필요한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우농가의 우사바닥 상태는 "보통이다" 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46.4%), 건조한 편 (35.5%)도 많이 있어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으나, 질척거리는 수준(18.1%)도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도 바닥관리에 톱밥이나 송풍홴을 설치하여 습기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우사바닥 습기제거는 "송풍홴" 을 이용 (36.4%)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설구입이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연빛이나 통풍을 이용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셋째는, 축사 내 냄새 악취는 "깔짚교체"로(33.7%) 제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자연송풍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환기를 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는, 여름철 축사내 "송풍홴 설치" 않은 농가 (37.7%)가 비교적 많았는데, 체온조절이나 습기제거용으로 적절히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는, 사료급이시설은 "수동식" (88.2%)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자동화시스템으로 전업화 농장 경영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는, 농가의 사양관리기술수준은 5점 만점 중 "2.80점" 으로 중등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어서 경쟁력을 갖춘 기술 습득이 요구된다. 일곱째로, 농장의 방역시설 중 "분무기" 사용 (80.8%) 농가가 가장 많았으나 소독장비가 없는 농가도 3.0%나 되었다. 그리고 "1주 1회" 방역실시 (40.0%) 농가가 가장 많았으나, 방역을 전혀 실시 않는 농가도 5.2%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방역의 중요성 인식과 최적 방역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아직도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하는 우리나라 한우농가는 악취, 우사바닥, 송풍, 온도, 방역시스템 등과 같은 사육환경 관리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종형, 김선균, 김용식, 이병오, 하서현. 2000. 가축관리학. 선진문화사. 39-53.
  2. 고영두. 2006. 한우학. 사육시설과 분뇨처리 . 선진문화사. 304-318.
  3. 문진산. 2010. 기후변화가 동물질병과 축산물 공급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대한 대응방안. 한국환경농학회, 춘계워크숍 자료. pp33-75.
  4. 이성규, 황의경. 2001. 동물과 환경. 기온과 동물 . 선진문화사. 27-40.
  5. 이승주, 장동일, 최윤혁, 양재웅, 민병주, Winson M. Gutierrez, 장홍희. 2010. 한우사내 송풍홴의 최적 설치에 관한 연구. 바이오시스템공학회. 35(5):350-356.
  6. 전경호, 최동윤, 송준익, 박규현, 김재환, 곽정훈, 강희설, 정종원. 2010. 수세 탈취시스템을 이용한 축산악취 저감에 관한연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16(1)21-28.
  7. Choi. H. L. 1983. Ventilation of Agricultural Structures. Daekwang Press, Seoul, korea.
  8. Ikeguchi. 1998. Mixing fan installation method for drying wet floors in free-stall houses. Transactions of the ASAE. 41(4):1119-1124. https://doi.org/10.13031/2013.17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