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from Economic Point of View

경제성 관점에서 문화기술연구원설립에 대한 정책적 제언 -조직구조, 규모 및 설립시기를 중심으로-

  • 이용규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
  • 주혜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10.28

Abstract

The establishment of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is now under discussion. In case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A, Japan and EU) practices market-oriented policies in the area of culture and entertainment industry. Therefore it is hard to find out Government-funded Institute which Korea could benchmark. In this situation,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its organizational structure, size of organization and budget, and when the institute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proposed a Consolidated-Decentralized model as a proper organizational structure after evaluating 4 different models based on 4 criterion. And based on results produced by the model developed for our research, this study suggested proposal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ersonnel and the size of budget should be larger than 300 persons and 1200 billion won respectively.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e should be decided by not only economic factor but also various factors such as political element, externality, private company investment and effect on production inducement etc. If new institute focused on different area from ETRI, then the time and size of the institute could be decided by the result of policy analysis.

문화기술연구원(이하 CT연구원)의 설립이 현재 논의 중에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CT 분야는 민간부분이 시장을 주도하는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정부출연형태의 연구기관을 해외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CT연구원의 조직구조, 규모 및 설립시기에 대하여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CT연구원을 신설할 것인가 혹은 기존 연구조직을 흡수할 것인가와 연구 조직을 통합 분산하는 것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가지의 기준을 적용하여 이들을 평가하여 흡수-분산형을 바람직한 조직구조로 제시하였다. 또한, 독립적인 연구원으로 전환하여 얻을 수 있는 편익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CT연구원은 예산은 최소 1200억 원 그리고 연구원의 인원은 최소 300명이 되어야 경제적 실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하지만, CT연구원의 설립여부는 경제성 분석의 결과 이외에 정책성 요인, 생산유발효과, 외부성, 민간투자유치규모 등 여러 요인들을 토대로 최종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신설될 CT연구원이 기존 정부출연 연구기관과는 다른 연구영역을 담당할 경우에는 정책적인 판단에 의해 설립 규모와 시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riceWaterhouse-Coopers,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2010-2014, PriceWater- house-Coopers, 201.
  2. 조용래, 김원준, "문화기술(CT)분류체계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 -기술분류체계 및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18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7.184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술(CT) R&D 기본계획 2012 정책자료집, 문화체육관광부, 2008.
  4. 장병완, 문화산업 기본법 일부 개정 법률안, 2010년 12월 29일.
  5. 세종대학교 디지털콘텐츠연구실,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설립계획서, 세종대학교, 2007.
  6. 임명환,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육성을 위한 R&D 정책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0.
  7. 세종대학교 디지털콘텐츠연구실,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설립계획서, 세종대학교, 2007.
  8. 국회예산정책처, 비용추계에 이용되는 단가 및 기준정보에 관한 연구, 국회예산정책처, 2009.
  9. SIPM, 2/4분기 오피스시장분석 90호, SIPM, 2010.
  10. 한국개발연구원, 첨단의료복합단지조성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한국개발연구원, p.174, 2007.
  11. D. Formahl and T. Brenner(eds), Coop eration, Networks, and Institution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heltenham Edward Elgar, 2003.
  12. 한국개발연구원, 경남로봇랜드조성사업, 한국개발연구원, pp.186-201, 2008.
  13. 한국개발연구원, 경남로봇랜드조성사업, 한국개발연구원, p.194, 2008.
  14. 한국산업평가기술원, 2007년도 산업기술개발사업성과 활용현황조사 결과보고서, 한국산업평가기술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