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es on Tidal Flats in Korea

한국의 간석지 연구

  • Received : 2011.10.17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tidal flat research history of South Korea was organized by type and period. South Korea's tidal flat research history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fields: sediment research of tidal flat, research using satellite imagery, research on the Quaternary environment change and tidal flats, and ecological research on tidal flats.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outh Korean tidal flat research history showed that tidal flats had been researched on sinc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most of the past studies were related to fisheries. Then, in the 1960s, the studies started to focus on the reclaimed land created through reclamation projects. The research on tidal flats from a geomorphological perspective fundamentally started in the 1970s, and the importance of tidal flats became more widely known in the 1980s. Most of the studies then were about the sedimentary environment and the form of landform, the ecosystem, and morphological changes. Since the 2000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satellite imagery data together with field surve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changes in the sedimentary facies of tidal flats, and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There have been many academic studies on the geographic field of tidal flats, but the research performance on tidal flats in terms of geomorphology is still a blue ocean that has been touched by only a few. Therefore, it is hoped that various studies on Korean tidal flats will be conducted by geomorphologists in the future, and that such area will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in geomorphology.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간석지 연구사를 유형별 및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간석지 연구사는 크게 간석지 퇴적물 연구, 위성영상을 이용한 연구, 제4기 환경변화와 간석지에 관한 연구, 그리고 간석지의 생태학적 연구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한국의 간석지 연구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간석지 연구는 일제시대 때부터 있었으나 대부분 수산업에 관계된 연구들이었다. 이후 1960년대에는 간척사업으로 인해 형성된 간척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집중되었다. 지형학적인 관점에서의 간석지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 이후부터 간석지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특히, 퇴적환경과 지표 형태 및 생태계, 지형 변화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위성영상 자료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간석지의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의 간석지에 관한 지리학 분야에서의 학술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지만, 지형학에서의 간석지 연구 성과는 소수에 의해 진행되어 여전히 블루오션과 같은 분야이다. 따라서 향후 더 많은 지형학자의 관심 속에서 우리나라의 간석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지형학에서의 주요 연구 분야로 정착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환경부 "차세대 에코이노베이션 환경기술 개발사업"으로 지원 받은 과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