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과제인 다해상도 환경의 시공간적 추상화 및 표준DB 구축 연구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충남 아산시 용두천 유역과 온양천 유역(이하 조사유역)에서 확인된 총 177기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이하 주거지)를 대상으로 최적 입지의 지형환경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거지가 확인된 조사유역의 구릉을 11개의 사면 미지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5개의 경사도 등급과 조합하여 총 55개의 극미지형으로 세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지형별 경사도' 관점에서 조사유역의 '주거지 수'와 '주거지 분포밀도(단위: 주거지수/1000m2)'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거지가 입지하는 최적의 지형 환경은 크게 5개의 극미지형 - ① 정부사면의 준완경사지, ② 정부사면의 완경사지, ③ 상부곡벽사면의 경사지, ④ 정부사면의 평탄지, ⑤ 정부평탄면의 평탄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분석자료는 향후 조사유역에 매장되어 있을 아산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분포 예측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is to find out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optimum location for the object of dwelling site of Bronze Age (hereinafter called dwelling site) of total 177 unit confirmed in Yongducheon basin and Onyangcheon basin (hereinafter called investigation-object basin) in Asan-si Chungnam. To do this, hill of investigation-object basin where dwelling sites were confirmed was divided into 11 units of hillslope geomorphological and this was combined with the grade of 5 units of gradient and again subdivided into total 55 units of micro-landforms of Hillslope. Based on this, in the viewpoint of 'gradient of each of micro-landforms' analyzed 'number of dwelling sites' and 'dwelling site distribution density (unit: number of dwelling sites/1000m2)'. As the result, the optimum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where dwelling sites were located was largely confirmed be 5 units(① semi-gentle slope land of crest slope ②gentle slope land of crest slope ③ slope of upper sideslope ④ flat land of crest slope ⑤ flat land of crest flat). It is thought that this analysis data will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redicting distribution of dwelling sites in Bronze Age which might have been buried in the investigation-object basin.
본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과제인 다해상도 환경의 시공간적 추상화 및 표준DB 구축 연구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