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a Characteristic of 『About Stage Drama Arts』

연극론 『연극예술에 대하여』의 특성 연구

  • 김정수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0.12.20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losely read Kim Jong-il's "About Stage Drama Arts" and disclose the new reality as evaluated by him. The study took the method by which to compare Kim Jong-il's theory on drama and North Korea's drama theory in the 1950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as irrational to grant the adjective "new" to Kim Jong-il's drama theory. This is because tradition inheritance and newness cross each other. First, his tradition inheritance aspect was found in his playwriting method. In playwriting method, Kim Jong-il's argument about characters and language is an extension of the 1950s drama theory, and his theory on JongZa(seeds) i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proposed in the 1950s. Also, the expression means of dramas and drama arts is dialogue, and his guideline to focus on the art of conversation rather than on acting is interpreted to be a reduced concept of drama arts, compared with the 1950s drama theory. On the other hand, his newness aspect can be clearly discovered in the materialization of stage. The fixed stage background, without dark change, shifts to another situation as it is, and this stage setting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tage setting. The attempt is worth highly evaluating to allow the stage to reflect actors' emotional flows and let them act. Also, the attempt is distinctively distinguished from previous drama theories to allow the chorus' positive involvement in dramas so as to directly deliver characters' emotions to the audience and to trigger the audience' response as intended by creators. From the perspectives of drama evaluation, Kim Jong-il's theory and practice regarding stage and music is understood to maximize the audio-visual effects. Therefore, Kim Jeong-il's drama theory, as he argues, is not a completely new theory, but a transformational inheritance of existing drama theories, and a creation theory with focus on expansion of spectacles.

본 연구는 김정일의 『연극예술에 대하여』를 면밀히 읽어가면서, 김정일 자신이 평가한 '새로움'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과정에서는 김정일 연극론과 북한의 1950년대 연극론과 비교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연구결과 김정일 연극론에 '새로운'이라는 형용사를 부여하는 것은 무리임이 드러났다. 계승과 새로움이 서로 교차되어 있기 때문이다. 먼저 계승의 측면은 극작법에서 발견된다. 극작법에서 등장인물과 언어에 관한 김정일의 주장은 1950년대 연극론의 연장선이며, 종자에 관한 그의 이론은 1950년대에 제기된 개념의 변형이기 때문이다. 또한 희곡/연극예술의 표현수단이 '대사'라는, 연기에 있어서 움직임보다 화술에 치중하라는 그의 지침은 1950년대 연극론과 비교할 때, 연극예술에 대한 개념의 축소로 해석된다. 반면 '새로움'의 측면은 무대형상화에서 확실히 발견된다. 고정되었던 무대배경이 암전 없이 그대로 이동한다는 것은 이전 무대장치와는 분명 구분되는 것이며, 무대가 연기자의 정서적 흐름을 반영하려는 시도는 그 성패를 떠나 시도만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코러스가 적극적으로 극에 개입하여, 극중 인물의 정서를 직접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고, 창작자의 의도대로 관객의 반응을 유도한 점 역시 기존의 연극론과 변별성을 갖는다. 연극적으로 평가할 때, 무대와 음악에 관한 김정일의 이론과 실천은 시청각성의 극대화라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김정일 연극론은 그의 주장과 같이 온전히 '새로운' 이론이라기보다는 기존 연극론의 축소적 계승이면서, 스펙터클의 확대에 초점을 둔 창작론이라 하겠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8-411-J03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