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ugendo(修驗道) and Noh(能) Performance

수험도(修驗道)와 노(能) - 노 <다니코(谷行)>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8.2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Noh(能) performance is a traditional drama that represents Japan. The Noh performance was approved in the background of religious thought such as Shintoism(神道), Buddhisms(佛敎), and Syugendo(修驗道). Especially, the influence from Shugendo is large. Shugendo was active in the Middle Ages. Especially, the influence from Shugendo is large. Shugendo was active in the Middle Ages. The Noh was approved while receiving a large influence from Shugendo. It can know the feature of the Shugen(修驗) culture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 Moreover, the appearance of the training of 'Yamabusi(山伏)' can be seen. "Yamabusi" has not been paid to attention up to now in the research of . And, the focus was appropriated to Yamabusi and it researched in this text. Moreover, the problem of "Chigo(稚子)" is thought through . "Chigo culture" was general in the Middle Ages. It is thought that "Chigo culture" is reflected in . is an Noh performance for the boy named 'Wakamatsu' to enter the mountain and to train. It is because mother's sickness was cured. However, the boy gets sick while it is training. It was dropped to the valley according to the law of Shugendo, and it died. However, it revives by the Yamabusi's prayers. 'Taniko' is to drop to the valley and to bury it when the Yamabusi gets sick while lived. The title of the Noh originated in here. has elements of history, content of training of Shugendo, "Filial piety", and the Chigo culture, etc. These are features of the culture in the Middle Ages. It is not only a sad content though this is a content of the cruel remainder. It is because of the revival though waited rapidly at the end. As for the difficulty of training is drawn in the round, and the appearance of the training at that time is understood well. The essence of Shugendo is to train in the mountain. Supernatural power can be obtained through training. Moreover, it was thought that it was able to be newly reborn through training. The leading part of Shugendo is an Yamabusi. The Yamabusi took an active part in not only the mountain but also the village. The Yamabusi is ordinary people's lives and because the relation is deep, an important factor it knows the folk customs of Japan. The word 'Chigo' is not written in . However, a spectator at that time is 'Chigo' Wakamatsu and is already sure to have understood 'Chigo'. Because everyone knew the Chigo culture in the Middle Ages. A religion at that time and knowledge of the society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lay of Nho well.

노(能)는 일본을 대표하는 전통연극으로 불교, 신도(神道), 수험도(修驗道)와 같은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하여 성립하였다. 이 중에서도 중세시대에 널리 확산되어 있던 수험도로부터 받은 영향은 현저하다. 수험도라는 종교사상을 배경으로 성립한 대표적인 노가<다니코(곡행(谷行))>이다. <다니코>의 내용 분석을 통해 중세의 수험문화, 특히 산악수행자인 야마부시(산복(山伏))의 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곡이 갖는 가치는 매우 크다. 본고에서는 이제까지의 <다니코>의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야마부시의 수행에 초점을 두고 수험도의 세계관이 노에 있어서 어떤 방식으로 극화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시에 다니코에 있어서의 아쟈리와 동자의 관계에 착목하여 중세문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치고(치아(稚児))문화의 투영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노<다니코>는 소년 와카마츠(약송(若松))가 어머니의 병환치유를 위해 스승을 쫓아 가즈라키산(갈성산(葛城山))에 입산하여 수행하던 차에 병에 걸리자, 야마부시 일행에 의해 '다니코(곡행(谷行))'를 당하게 되었지만, 결국에는 야마부시 일행의 기도로 다시 소생한다는 이야기이다. 다니코는 병든 수행자를 계곡에 던지고 그 위에 토사나 돌을 덮어 산채로 매장하는 형법을 말한다. 노<다니코>의 제목도 바로 이 수험도의 형법에서 유래한 것이다.<다니코>는 수험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야마부시의 수행과 행법·와카마츠의 효심·치고 문화 등을 크로스 시키면서 일본중세의 사회문화의 특징을 조화롭게 담아낸 작품이다. 가혹한 형법을 소재로 하여 난행과 고행의 연속인 야마부시의 입산수행의 어려움을 리얼하게 표현하고 있어 당시의 입산수행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수험도의 본질인 입산수행은 생명의 재생,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며, 심산에서의 고행을 통해 새로운 탄생에 이른다고 관념되어 왔다. 이러한 수험도를 이끌어 온 것은 산악수행에 의해 신령스런 힘을 획득한 야마부시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활동은 산에 한정되지 않고, 사토(리(里))에 있어서의 서민의 신앙과도 깊게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험도는 일본의 민속·문화의 특징을 찾는데 있어서 불가결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가혹한 다니코 형법에 의해 자칫 유쾌하지 않은 인상으로 끝나버릴 작품이었지만, 소생이라는 대반전을 통해 효심에 의한 미담을 담은 노로 분위기가 전환되었다. 작가가 설정한 와카마츠의 소생이라는 극적효과는 본래 수험도가 본질적으로 추구하고 있었던 재탄생의 구조에서 힌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제까지 노<다니코>에 있어서의 스승 아쟈리와 와카마츠의 관계를 치고 문화와 관련시켜 지적한 논문은 없었다. 이 작품의 어느 부분에서도 '치고'라는 단어를 쓰지 않았지만, 중세의 관객들은 당시에 만연했던 치고 문화에 대한 이해 하에 아쟈리와 와카마츠가 치고 관계라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노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문화의 기반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7-361-AM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