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surveyed historical records on outbreak and features of forest fires during Chosun Dynasty's 518 years in being and analyzed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archives from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The Compilation of Ministry Proposals, Posthumous Records of King Cholchong etc. Forest fires were most prevalent and extreme during King Hyunjong (14 cases) and King Sunjo (13 cases) due to strong wind, and the biggest-ever forest fire broke out in the fourth year of King Soonjo (1804)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Kangwon province. The fire had resulted in 61 fatalities and 2,600 destroyed houses.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 of Korea, Kangwon province, in the $13^{th}$ year of King Hyeonjong (1672) is recorded to have caused the highest number of deaths, 65people. The most frequent cause of forest fires during Chosun Dynasty was unidentified (42 cases), followed by accidental fire (10 cases), arson or lightning (3 cases), fire during hunting (2 cases), play with fire by children, destruction of patty fields and dry fields by fire and house fire (1 case respectively). By region, 56 % of forest fires erupted in the east coast (39 cases)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west sea (9 cases), Seoul and central region (8 cases) and the southern part of Korea (7 cases). By season, spring was found to be most vulnerable to forest fire as it accounted for 73 % of the total amounting to 46 cases. Behind were summer (11 cases), winter (6 cases) and autumn (0 case). Specifically, most forest fire broke out on April and May, which is the same as today. Archives and literature indicate that the person who involved in forest fire by accidental as well as arson had to be punished by banishment, expulsion from government office and public hanging. Also, officials in charge of the region that suffered forest fire were subject to reprimand. In conclusion, risk and gravity of forest fires were evident during the Chosun Dynasty as specified in historical archives and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today's forest fires in terms of the duration and regional patterns.
본 연구는 역사기록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518년 동안 산불발생 및 특성에 관한 기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역사기록서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국역비변사 등록, 각부청의서존안, 철종행장 등으로 조선시대 왕조별로 산불이 기록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역사기록문헌에서 기록된 산불 내용은 발생 개요, 산불 종류, 산불피해 등에 관한 사항과 함께 송전(松田)의 산불예방 조치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시대 역사기록서를 분석한 결과, 산불발생건수가 많았던 왕조는 현종(14건)과 순조(13건)로 강풍으로 인한 산불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기록되었고 최대 산불피해는 순조 4년(1804)에 발생한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사망자 61명, 민가 2,600호가 소실되었다. 또한 최대 인명피해가 발생한 산불은 현종 13년(1672)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65명이 사망하였다. 조선시대 산불 발생 원인은 원인미상(42건)>실화(10건)>방화, 낙뢰(3건)>수렵입화(2건)>어린이 불장난, 논밭두렁소각, 가옥화재(각 1건)로 나타났으며 지역별 산불발생은 동해안 지역이 39건(56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산불발생은 봄철기간 산불이 46건(73 %)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중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4~5월로 현재의 산불위험시기와 유사하다. 산불관련자에 대한 처벌의 경우, 방화자 및 실화자에 대해서는 유배, 관직박탈, 효시 등의 처벌기록과 관리지역 책임자에 대한 문책이 기록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의 경우에도 산불 위험성과 심각성에 대해 여러 문헌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현재 우리나라 산불발생 기간 및 지역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