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etic Resources Collection of Crop Landrace at Kanghwa, Ulreung and Jeju Islands in Korea

한반도 강화도, 울릉도 및 제주도의 작물토종 유전자원 수집

  • Received : 2011.09.16
  • Accepted : 2011.09.3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460 collections of 60 crops were collected during 34 days from 28 November to 31 December 2008. The 295 accessions of 43 crops, 49 accessions of 24 crops and 116 accessions of 42 crops were collected in Kangwha, Ulreung and Jeju island in this exploration. Among the total collections, the portion of the food crops, vegetable or ornamental crops and industrial crops were 54.8%, 25.4% and 19.8%, respectively. The farmers conserved 48.4% to 53.6% of the landrace crops for 31 to 50 years. Furthermore, 13.1% to 18.7 % of the collections were cultivated over generation to generation. Most of the crop seeds were conserved by woman farmers aged from 61 to 80 years old. The 82.9% of the seed distributors were also woman farmers, whereas 17.1% was distributed by man farmers.

강화도, 울릉도 및 제주도 일원에서 2008년 11월 28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 5회에 걸쳐 수집단이 작물 토종 유전자원을 탐색 수집한 결과 총 60작물 460점을 수집하였다. 강화도에서는 43작물 295점을 수집하였으며, 울릉도에서는 24작물 49점을 수집 하였고, 제주도에서는 42작물 116점을 수집하였다. 전체 수집한 작물 토종중 식량자원은 14작물 252점(54.8%)이었고, 원예작물이 117점(25.4%)이었으며, 특용작물은 91점(19.8%) 이였다. 식량작물 토종수집 결과는 3개도 공히 콩, 강낭콩 등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옥수수, 수수가 많았다. 강화도에서 수집한 분홍감자와 울릉도의 울릉감자는 소멸직전의 귀한 작물 토종이었다. 원예작물 토종 수집결과 호박, 시금치, 갓, 오이, 상추 순으로 많았다. 강화의 긴호박, 토종오이, 시금치와 울릉도의 오이, 호박 및 제주도의 무, 얼갈이 배추, 고추 등은 오래 재배하여 온 가치 높은 토종자원들 이었다. 특용작물 토종 수집결과 참깨, 들깨, 박, 피마자 등이 많이 수집되었으며 제주도와 강화도에서 수집한 댑싸리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유용한 자원들이다. 수집된 작물 토종의 농가재배 년 수는 대체로 31-50년(작목별로 48.4~53.6%)이 가장 많았다. 대를 물려서 재배 하여 온 토종작물도 13.1~18.7%였다. 농가에서 작물토종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분양해준 농부들은 여자가 82.9%로 남자 17.1%에 비하여 훨씬 많았으며, 씨앗은 61~80세(74.3%)의 여성들의 손에 의하여 보존되어 왔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W.S., Y.P. Hong, I.S. Han, G.Y. Huh and Y.H. Kang. 1992. Exploration of useful plants in Ulreung Island. Korean Soc. Breed. Sci. 23(4):53-67.
  2. Ahn W.S., J.H. Kang and M.S. Yoon. 1994. Reserch on the genetic erosion trend of the Korean crop landrace. Research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3. Ahn W.S., M.S. Yoon and Y.W. Na. 1998. Collection of crop landraces at Kanghwa island. Research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4. Ahn W.S. 2007. Establishment and construction of Korea genebank. RDA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stitute. Genetic Resources Division. pp. 15-26.
  5. Chung M.C. 2008. Today and future of crop landraces. Kwahakwonyesa, Seoul, Korea.
  6. Kang J.H. 2007. Genetic resources research 20 yea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stitute.
  7. Matsuo K.M. 1989. Compilation of Plant Genetic Resources. Kangdamsa, Tokyo, Japan.
  8. Park C.H., Y.B. Shin, W.S. Ahn, K.J. Jang, K.K. Park, N.S. Kim, B.J. Park, J.K. Lee, S.K. Chung, D.J. Lee and H.J. Kim. 2004. Plant Genetic Resources. Min Eum Sa, Seoul, Korea. pp. 19-44.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5. Method of genetic resources research and collection.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Exploration and evaluation of genetic reseour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40 years. pp. 634-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