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연구지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제35권1호
- /
- Pages.80-90
- /
- 2011
- /
- 1225-3944(pISSN)
- /
- 2733-4074(eISSN)
초등 예비교사의 실험 기구 조작 능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Skills of Experimental Apparatus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Lee, So-Re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i, Hyun-Dong (Seoul Daebang Elementary School) ;
- Lim, Jae-Keun (St. Mary's Elementary School) ;
- Shin, Se-Young (Seoul Banghak Elementary School) ;
- Yang, Il-H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1.04.25
- 심사 : 2011.06.01
- 발행 : 2011.06.30
초록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실험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험 기구 조작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초등 예비교사의 실험 수행 과정을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중소도시 소재 H대학교 초등교육과 학생 2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실험 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 기구는 현미경, 프레파라트 제작, 스포이트, 알코올램프이다. 또한 실제 실험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험 기구 조작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실험 기구의 조작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관점을 개발하였다. 3명의 연구 대상자가 각자 독립된 공간에서 동시에 실험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 때 3명의 공동 연구자가 각 연구 대상자의 실험 과제 수행 과정을 관찰하고 실험 기구 조작능력 평가 관점표에 제시된 각 관점의 조작 여부를 O, X로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 교사들의 알코올램프, 스포이트, 현미경, 프레파라트 제작 능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알코올램프는 스치듯 불 붙이기와 불꽃에 따라 삼발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 기능이 매우 낮았으며 스포이트는 바르게 잡기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프레파라트는 제작 시 핀셋 등의 기구 대신 손을 많이 사용하였고 물방울 떨어뜨리기, 거름종이로 물기 닦아내기를 거의 수행하지 않았다. 또한 현미경은 각 과정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지 못했고 초점을 제대로 맞추지 못해 관찰 대상을 관찰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실험 기구 조작 능력 향상을 위해서 초등 교사 양성 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개별적으로 실험 기구를 조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가져야 하며, 이 과정에서 실험 기구의 명칭과 용도, 실험 기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 사용할 때의 유의점, 실험에서 이 실험 기구를 사용하는 이유 등 실험 기구의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nual skills of experimental apparatus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experiments conducted by pre-teachers. For this study, 24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4 experimental apparatuses were chosen through analyzing science textbooks from 3rd grade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selected experimental apparatuses were alcohol burner, dropper, microscope, instruments for making a prepared specimen. In addition, a task was carefully chosen to conduct an investigation in real settings and a series of evaluation standards was developed. While 3 subjects conducted experiments in separated and independent space at the same time, 3 collaborators observed the experiment process and recorded whether the subject met the evaluation standards or not, using O, X. The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skills of experimental apparatuses were under far below our projections. Particularly, in case of alcohol burner, the subjects showed lower ability to properly light the burners - which is to brush through the lampwick with fire -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ripods according to the flame. Also, when it comes to dropper, they were not held the way they were supposed to be. In addition, when designing prepared specimen, the subjects used their hands instead of tweezers and often skipped the process of dripping water drop and wiping water with an oilpaper. Moreover, they did not know how to use a microscope properly so there were many times that they could not focus a microscope, failing to observe the objec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