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Five-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Psychological Factors by Correctional Youth Smoking

5일 금연 프로그램이 생리적 지표 및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교화 흡연청소년 대상으로-

  • Received : 2010.12.15
  • Accepted : 2011.03.12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a five-day target youth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terms of smoking behavi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changes, and 1-month maintenance of non-smoking.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one-group pre-posttest study were 91 youth smokers registered to a smoking cessation school at a hospital in Seoul. Data analyses performed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paired t-test, and ANOVA. Results: A five-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expired carbon monoxide level, stress, and depression. In post-intervention urine test, urine cotinine was detected in 14 of 91 participants(15.4%). In a one-month follow-up telephone survey 80.2% responded maintaining non-smoking.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 of a five-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adolescent smok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호. 청소년 금연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 본부. 2009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 본부, 2009.
  3. 김명식. 흡연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 금연 프로그램과 행동주의 금연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소야자, 남경아, 서미아, 박정화. 흡연 청소년을 위한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1;10(2):164-175.
  5. 김소야자, 서미아, 남경아, 이현화, 박정화. 흡연 청소년을 위한 학교 중심의 집단 금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2;11(4):462-473.
  6. 김선애. 5일 금연학교의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8;12(1):103-115.
  7. 류현숙. 운동을 포함한 금연프로그램이 여고생의 흡연행위, 사회심리적 변수 및 체중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전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8. 박명희. 청소년 5일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9. 박수잔. 흡연상태평가를 위한 호기일산화탄소 검사와 Dipstick Method를 이용한 소변코티닌 검사의 정확도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백노현. 단계적 금연교육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흡연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경기: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4.
  11. 손여정. 청소년을 위한 다중적 금연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12. 송미라. 금연학교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석사학위논문]. 서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13. 신성례. 흡연 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효능감증진 프로그램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a.
  14. 신성례. 청소년들의 흡연량 자가보고와 소변코티닌과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7b;19(3):495-504.
  15. 양해규. 금연교육이 청소년의 흡연 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0.
  16. 임은선. 5&6 금연프로그램의 청소년 금연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7. 조남진, 최덕구, 정일규, 이준수, 윤진환. 인간과 건강. 홍경출판사, 1996.
  18. 차재술. 보건소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흡연 고등학생의 흡연량, 흡연태도, 인지 및 금연 의지에 미치는 영향 : 포항시 H공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 대학교 대학원, 2009.
  19. 최정숙. 인지행동요법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의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20. 최중호. 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참여가 흡연 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5&6 금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1. 한국금연운동협의회. 흡연과 건강.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22. 황보빈. 청소년 흡연의 의학적 심각성. 건강증진 및 금연 심포지움. 국립암센터, 2003년 11월.
  23. 황혜숙. 금연 학교 추후관리 프로그램이 흡연 청소년의 금연행위변화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부산: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24. Cline ME, Herman J, Shaw ER, Morton RD.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res 1972;41:378-380.
  25. Coultas DB, Howard CA, Peake GT, Skiper BJ, Samet JM. Discrepancies between self report and validated cigarette smoking a community survey of new mexico hispanics. The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998;137:810-814.
  26. Haukkala A, Uutela A, Vartiainen E, Mcalister A, Knekt P. Depression and smoking cessation: The role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ddictive Behaviors 2000;25(2):311-316. https://doi.org/10.1016/S0306-4603(98)00125-7
  27. Larimer ME, Palmer RS, Marlatt GA. Marlatt's Cognitive-Behavioral Model. Alcohol Research & Health 1999;23(2):151-160.
  28. Marlatte GA, Gordon JR. Relapse Prevention. New York, Guilford Press, 1985.
  29. Simonich WL. Government anti smoking policies. New York, Peter Lang, 1991.
  30. Williams CL, Eng A, Botvin GP, Hill P, Wynder EL. Validation of student's self-reported cigarette smoking status with Plasma cotinine Level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79;69(12):1272-1276. https://doi.org/10.2105/AJPH.69.12.1272
  31. Wagenknecht LE, Burke GL, Perkins LL, Haley NJ, Friedman GD. Misclassification of smoking status in the CARDIA study: A comparison of self-report with serum cotinine level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2;82(1):33-36. https://doi.org/10.2105/AJPH.8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