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by Type of Residence

대학생의 기숙사 생활 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요인

  • Oh, Nan-Su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Chang-Hyun (Department of Hospital & Health Care Administration Gyeongsan1 University College)
  • 오난숙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 한창현 (경산1대학 병원의료행정과)
  • Received : 2011.02.28
  • Accepted : 2011.06.1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by type of residence between two groups of college students: those who live in dormitories and those who commute from home.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2,287 students (870 male, 1417 female) from 14 colleges in Daegu and Kyungpook areas and compared health-promoting practice scores,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environment, and parental suppor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ealth-promoting practice scores as a dependent variable. Results: Dormitory residents 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health-promoting practice scores than commuters in both gend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ealth environment (p<0.05) and parental influence/support (p<0.01) for male dormitory residents. For female dormitory residents interest in health(p<0.05), stress(p<0.05), and parental influence/support(p<0.01) were associated. Conclusions: Systematic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would be needed fo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llege dormitory students with the help of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support. We suggest a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smoking, health behavior, and alcohol and a parental program to increase contact with their children for a positive parental influence and support.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선.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07;19(5):37-46.
  2. 김명숙. 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성격특성, 상황적 장애,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4;16(3): 442-451.
  3.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1):59-85.
  4. 김정술. 여자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과 관련 연구. 한국위생과학회지 2008;14(2):1-9.
  5.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사용[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재열, 이근영. 청소년 음주 및 흡연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지 2010;12(2):53-74.
  7. 김현혜. 대학 기숙사생들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제약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8. 김희경. Pender 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6;12(2):132-141.
  9. 김희선. 일 지역 고등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수행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6;202(2):151- 162.
  10. 남경아.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와 사회심리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9;18(4):501-511.
  11. 류 미, 이민규, 신희선. 대학생의 폭음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지각된 음주기준의 역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10;16(1):63-79.
  12. 류은정, 권영미, 이건세.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 양식 이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 18(1):49-60.
  13. 박영주, 오가실, 이숙자, 오경옥, 김정아, 김희순, 최상순, 이성은, 정추자, 전화연. 한국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2002;32(6): 792-802.
  14. 박천만, 김영복. 대학보건실의 운영체계 및 건강증진 서비스제공 실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0;27(2):151-163.
  15. 박후남, 김명자.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과 스트레스 및 우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0;14(2):318-331.
  16.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모형[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6.
  17. 신수진, 신경림, 김은하. 일 대학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 스트레스,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회지 2005;17(1):40-47.
  18. 신영주, 김유숙.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중독과정-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09;14(4):683-710.
  19. 여정희, 김은영. 남녀 대학 신입생의 건강습관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2):283-291.
  20. 윤순녕, 김정희. 제조업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분석-Pender의 건강증진모형적용.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999;8(2):130-140.
  21. 윤은자.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997;9(2):262-271
  22. 이경민. 일부 대학 기숙사 생활자의 건강행위와 건강통제 관계. 목포과학대학교 논문집 2002;26:357-381.
  23. 이미자.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 모형 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24. 이원재, 반덕진. 일부 대학생의 건강관련행위.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999;16(2):157-171
  25. 정 훈. 대학기숙사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26. 조순영. 일부 간호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SAT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12(1):78-85.
  27. 조영희, 조명희, 심영, 김대년, 이경희. 대학문화정착을 위한 대학생의 생활문화비교분석-지방대학 대학생의 통학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000;9(2):153-176.
  28. 한금선.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2005;35(3):585-592.
  29. 한창현, 박종옥, 박재용. 고등학생의 기숙사생활 여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2):63-76.
  30.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1. Pender NJ, Pender AR.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intentions to engage in health behaviors. Nursing Research 1986;35(1):15-18.
  32. Walker NS, Sechrist KR, Pender NJ.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33. Yarcheski A, Mahon NE. A causal model of positive health practices-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and replication. Nursing Research 1989;38(2):8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