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Long-Term Caregivers'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재가노인방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 이영화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1.09.09
  • Published : 2011.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workers'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90 long-term caregivers from 50 in-home visitation care facilities in Seoul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echniques. Results showed that role three job stress variables had positive effects on caregivers' psychological burnout; that two job stress variables(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nd psycholigcal burnout had negaive effects on caregivers' job satisfaction whereas they had positive effects on caregivers' intent to leave; that workload negatively impacte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but no effect on their intent to leave; and that two social support variables played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의 노인장기보험법에 준한 재가노인방문요양시설의 인력배치 기준을 준수하고 있는 50개의 사회복지법인 및 개인시설에서 요양보호사 2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단계적 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인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및 업무량의 세 변수 모두 심리적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의 두 직무스트레스 변수와 심리적 소진 모두 조직유효성 측정지표인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이직의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변수인 업무량은 직무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이직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원 변수인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 모두 심리적 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직무만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직의도와 관련해서는 상사의 지원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동료의 지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의 조절역할과 관련해서는 상사의 지원이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동료의 지원이 역할모호성, 역할갈등 및 업무량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와 그리고 역할모호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09. 1월,
  2. 이삼숙,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영자, "노인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 김현진, 김혜경,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호, pp.191-214, 2011.
  5. 진미향, "직무특성이 정서적 고갈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김영순, "재가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수발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전춘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J. M. LaRocco, J. S. House, and J. R. P. French, Jr, "Social support, occupactional stress,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 pp.202-218, 1980. https://doi.org/10.2307/2136616
  9. S. Cohen and T. A. Willi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 Bull,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10. A. Yarcheski and N. E. Mahon, "The moerator-mediator role of social support in early adolescents," West JNurs Res, Vol.21. pp.685-698, 1999. https://doi.org/10.1177/01939459922044126
  11. J. H. Greenhause and S. A. Parasuraman, "A work-nonwork interactive perspective of stress and its consequences," J Organ Behav Manage, Vol.8, pp.37-60, 1996.
  12. S. P. Robbins,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93.
  13. M. T. Matteson and J. M. Ivancevich, Controlling Work Stress: Effective Human Resource and Management Strategi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87.
  14. J. L. Gibson, J. M. Ivancevich and J. H. Donnery, Organizations: Behavior Structure Process, Fifth Edition, Business, Pub., pp.223-224, 1985.
  15. 박영호, 김정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과 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 교육이론과 실천, 제10호, 제1권, pp.453-481, 2000.
  16. K. Max, "Job satisfaction and/or job stres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working in ′High performance work organization′," Current Sociology, SAGE, Vol.57, No.6, pp.809-828, 2009. https://doi.org/10.1177/0011392109342217
  17. 문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21권, 제3호, pp.341-350, 2010.
  18. R. D. Caplan and K. W. Jones, "Effects of work load, role ambiguity, and type A personality on anxiety, depression, and heart ra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0, pp.713-719, 1975. https://doi.org/10.1037/0021-9010.60.6.713
  19. J. S. Boles, M. W. Johnston and J. F. Hair, "Role stress,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Inter-relationships and effects on some work-consequences," The Journal of Pe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Vol.17, No.1, pp.17-28, 1997.
  20. 박종숙, "여성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경기도 교육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1. 권용만,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제11권, 제1호, pp.9-27, 2005.
  22. M. Giampiero, L. Francesco, S. Caterina, R. Lorenzo, G. Saffi, and B. Eva, "Associ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stress with aspects of job and practice management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Quality in Primary Care, Vol.17, pp.215-223, 2009.
  23. 김금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제13권, pp.79-107, 2009.
  24. G. A. Raeda, H. O. Ferdous, and F. A. Ahm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tress-satisfaction relationship among Jordanian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7, pp.870-878, 2009.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9.01007.x
  25. J. L. Pri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inventory of propositions, homewood III, Irwin, pp.203-204, 1968.
  26. P. E. Mott,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s, New York: harper & row, 1972.
  27. S. P. Robbins, Organizational behavior, 6th edi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1993.
  28. R. S. Steer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0, p.549, 1975.
  29. R. H. Miles,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impacts of role perceptions of ambiguity and conflict by rol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17, pp.19-44, 1976.
  30. 고종욱, 염영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2호, pp.265-274, 2003.
  31. 이동수,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요인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6권, 제2호, pp.129-149, 2009.
  32.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호, pp.125-144, 2011.
  33. H. J. Freudenberger,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No.1, pp.159-165, 1974.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34. C. Maslach., "Burnout," Humal Behavior, Vol.9, pp.16-22, 1976.
  35. C. L. Cor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8, No.4, pp.621-656, 1993.
  36. J. K. Sager, "A structural model depicting salespeople's job str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ing Science, Vol.22(Winter), pp.74-84, 1994.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1007
  37. M. Leiter and C. Maslach,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and or 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rga nizational Behavior," Vol.9, No.4, pp.297-308, 1988. https://doi.org/10.1002/job.4030090402
  38. 손해경, 손대현, "호텔 근무자들의 직무수행에서 정서변인, 소진, 직무만족과의 관계연구", 관광학회, 제33권, 제4권, pp.273-295, 2009.
  39. 박재희,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소진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리조트학회, 제8권, 제2호, pp.137-154, 2009.
  40. P. Tharenou, S. Laimer, and D. Conoy, "How do you make it to the tip? an examination of influences on women's and men's managerial advanc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4, pp.899-931, 1994. https://doi.org/10.2307/256604
  41. S. J. Wayne, R. C. Liden, M. L. Kramer, and L. K. Graf,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 work-family experience: relationship of the big five to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4, pp.108-130, 1999.
  42. S. Cobb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3. H. Seyle, "A syndrom produced by diverse nocuous agents," Nature, Vol.138, p.32, 1936. https://doi.org/10.1038/138032a0
  44. F. Luthans, Organizational behavior, 4th ed(New York : McGraw-Hill, p.136, 1985.
  45. R. Kahn and T. Antonucci, Convoys of social support: a life-course approach, In S. B, Kiesler, J. N. Mogan., & V. K. Oppenheimer(Eds.), Aging: Social change, pp.383-485, San Deigo: Academic Press. 1981.
  46. 진유식, "사회복지사의 직무역할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9권, 제6호, pp.31-55, 2009.
  47. 박웅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8. 박소영, "간호 중간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성과의 관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9. J. R. Rizzo, R. J. House, and S. I. Lirtzman, "Role conflict and ambiquity in complex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5, pp.150-163, 1970. https://doi.org/10.2307/2391486
  50. J. L. Price and C. W. Muelle, "Abseneeism and turnoveramong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1986.
  51. J. Jaccard, R. Turrisi and C. K. Wan.,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Regression, Newbury Parkk, CA: Sage, 1990.
  52. 류현미, "성격유형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탈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3.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10-357, 1985.
  54. NA. Yarcheski and N. E. Mahon, "The moderator-mediator role of social support in early ado lescents," West JNurs Res, Vol.21, pp.685-698, 1999. https://doi.org/10.1177/01939459922044126
  55. 강소영,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Cited by

  1.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 Focus on Luxury Hotel in Seoul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423
  2. Stress and Stress Coping that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Social Work Field Practicum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