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모작 작부체계 적응 다수성 및 조숙성 헤어리베치 품종 선발을 위한 생산력 검정

Performance Trial for Developing High - Yielding and Early Maturing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Cultivar under Double Cropping System

  • 투고 : 2011.07.29
  • 심사 : 2011.09.01
  • 발행 : 2011.09.30

초록

본시험은 2모작 작부체계적응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헤어리베치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생산력검정은 조생종 Cold green, Haymaker plus, Cappello와 중만생종 Cheong pa, Challenger, Hungvillosa 및 Latigo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사초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북성주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되었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 7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09년 9월 26일과 2010년 10월 11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2010년과 2011년 공히 4월 30일에 실시하였다. 내한성은 울리포드베치인 Haymaker plus와 Cappello가 다른 헤어리베치품종에 비해 약간 낮았다. 50%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3일로 가장 빨랐으며, Haymaker plus와 Cappello가 각각 4월 26일과 4월 24일로 비슷했으며, Cheong pa와 Challenger는 5월 13일로 같았고, Hungvillosa 5월 17일, Latigo 5월 22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Cold green이 Haymaker plus를 제외하고 제일 높았으며 (P<0.05), Haymaker plus는 다른 품종들 보다 높았으며(P<0.05), Cappello, Cheong pa, Challenger는 Hungvillosa와 Latigo 보다 높았다(P<0.05). 2년차 시험에서 Cold green이 가장 높았으며 (P<0.05), Haymaker plus는 다른 품종들 보다 높았고(P<0.05), Cappello는 Hungvillosa와 Latigo 보다 높았고(P<0.05), Cheong pa와 Challenger는 Latigo 보다 높았다(P<0.05).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ADF 함량은 낮았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파종베치의 품종은 조생품종이 양호했으며 차선으로 중만생품종중에서 선택할 경우 개화기가 빠른 품종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DM) yield of early-maturing hairy vetch 'Cold green', 'Haymaker plus', 'Cappello' and medium-late maturing cultivar 'Cheong pa', 'Challenger', 'Hungvillosa' and 'Latigo' at Seongju in the Kyeongbuk from 2009 to 2011.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Hairy vetchs were seeded on Sep. 26 and Oct. 11 in 2009 and 2010. Vetch plants were harvested on 30 Apr. in 2010 and 2011. Cold tolerance for Haymaker plus and Cappello were a little lower than other cultivars. Fifty percent-flowering dates of Cold green had earlier than others and Haymaker plus and Cappello were earlier than Cheong pa, Challenger, Hungvillosa and Latigo. Cheong pa and Challenger were ealirer than Hungvillosa and Latigo.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the highest (p<0.05) of the cultivar except Haymaker plus. Haymaker plus was higher (p<0.05) than others and Cappello, Cheong pa, Challenger were higher (p<0.05) than Hungvillosa and Latigo in 2010. In 2011, the DM yield of Cold green was the highest (p<0.05) of the cultivar and Haymaker plus was higher (p<0.05) than others. Cappello was higher (p<0.05) than Hungvillosa and Latigo. Cheong pa and Challenger were higher (p<0.05) than Latigo. Vetch cultivar was high in crude protein (CP) and low in Acid detergent fiber (ADF).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arly-maturing cultivar would be recommendable for fall sown vetch for DM produ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식량과학원. 2010. 헤어리베치 이용기술 활용자료집. 농촌진흥청.
  2. 김종근, 윤세형, 정의수, 임영철, 서 성, 서종호, 김시주. 2002a. 파종방법 및 혼파비율이 호밀- 헤어리베치 혼파 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2(4):223-240.
  3. 김종근, 정의수, 윤세형, 서 성, 서종호, 박근제, 김충국. 2002b. 연맥-헤어리베치 혼파에 의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2(1):31-36. https://doi.org/10.5333/KGFS.2002.22.1.031
  4. 김종근, 정의수, 임영철, 서 성, 김맹중, 김종덕. 2004. 도입베치의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4(2):177-182.
  5. 농협중앙회, 2011. 2011년도 제1차 목초 및 사료작물품종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 자료. 농협중앙회 축산컨설팅부.
  6. 서종호. 2000. 헤어리베치 녹비시용에 따른 토양 질소 증진 및 후작 옥수수의 질소비료 절감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신정남, 고기환. 2000. 베치 도입품종의 사초수량과 사료가치. 계명연구논총 18:441- 447.
  8. 신정남, 김동암, 고기환, 김용원. 2000. 도입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 특성과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0(4):251-258.
  9. 신정남, 고기환. 2003. 자생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3(4):23-228.
  10. 신정남, 고기환, 김종탁. 2005. 일년생 한지형 콩과사초의 생육특성과 생산성 비교. 계명연구논총 23:221-231.
  11. 신정남, 고기환, 김종탁. 2006. 자생 헤어리베치 조생 계통 개발. 계명연구논총 24:227-232.
  12. 신정남, 고기환, 김종탁, 이종경, 서 성, 성병렬, 최기준, 김종덕, 오명곤. 2007. 헤어리베치 신품종 조생종 콜드그린과 중만생종 청파의 생육특성 및 수량. 한국초지학회지 27(4):257-262.
  13. 이종경, 임근발, 김기용, 최기준, 성병렬, 서 성, 지희정, 최연식, 신정남, 박형수. 2007. 헤어리베치의 품종별 생육특성과 생산성 비교. 한국초지학회지 27(4):249-256.
  14. 조익환, 윤용범, 박웅렬, 황보순, 이성훈, 이주삼. 2008.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 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한국초지학회지 28(4):323-330. https://doi.org/10.5333/KGFS.2008.28.4.323
  15.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16. Bull, B. and A. Mayfield. 1992. Growing Vetch. Bold Images, Australia.
  17.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397. ARS, USDA. Beltsvile.
  18. Hargrove, WL. ED. 1982. Ga Agr Exp Sta Spec Publ 19. In: Heath, M.E. R. F. Barnes, D.S Metcalfe : Forages (4th Ed.) Iowa State University, Iowa, USA. p. 150.
  19. Hoveland, C.S. and C.E. Townsend. 1985. Other legumes (winter annual legumes, vetches). In : Forages (4th Ed.), Iowa State University, Iowa, USA. pp. 149-151.
  20. Power, J.F. and J.F. Zachariassen. 1993. Relative nitrogen utilization by legume cover crop species at three soil temperatures, Agron. J. 85:134-140. https://doi.org/10.2134/agronj1993.00021962008500010025x
  21. SAS. 1999.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Inst, In, Cary, NC.
  22. Torbert, G.A. D.W. Reeves and R.L. Mulvaney. 1996. Winter legume cover crop benefits to rotation vs fixed-nitrogen effects. Agron. J. 88:527-535. https://doi.org/10.2134/agronj1996.00021962008800040005x
  23. Walton, G. 1991. Vetches. Farmnote (No.56/91), West. Aust. Dept. of Agri.

피인용 문헌

  1.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ommon Vetch (Vicia sativa) Cultivars and Korean Wild Common Vetch in Kyeongbuk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17
  2. Effect of Italian Ryegrass Mixtures on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Dry Riverbed of Ansancheon vol.34, pp.1,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