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습성과 평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in-Young (Center for the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 ;
  • Kang, Sung-Ju (School of Applied Chem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 ;
  • Kang, Bo-Seon (School of Mechanical 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 ;
  • Kim, Dae-Ik (School of Electrical,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Compute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
  • 김진영 (전남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강성주 (전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
  • 강보선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
  • 김대익 (전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11.09.06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multiple and complex audiences are required to engineers in society of moder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PO7), which is one of the 12 program outcomes stipulated by 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o ensure logical connectivity of the assessment system, we carefully selected the performance criteria by defining the core concept of "written communica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lected performance criteria,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ssessment tools and rubrics was explained in detai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would be more systematic by using the proposed assessment system.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정(2008). 과학기술자를 위한 의사소통 능력, 공학교육, 15(4): 28-30.
  2. 권순희(역)(2008). 말하기에서의 언어적, 비언어적 범위(Together: communicating interpersonally), 화법연구, 7: 251-301.
  3. 김명랑.윤우영.김동환.정진택(2007). '프로그램학습성과 및 평가' 실천을 위한 모형 개발 및 전략에 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0(4): 29-42.
  4. 김복기.박진영(2008).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공학교육연구, 11(4): 46-57.
  5. 김복기.민상원.이건영.윤우영.강상희(2009). 국제성함양과 관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선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63-70.
  6. 김영임(1998).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출판.
  7. 김우룡.장소원(200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출판.
  8. 김은주.조영임.도승이(2010). 복합학제적 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융합교육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132-142.
  9. 김지심.최금진.이종연(2010). 공과대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인식 분석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3-13.
  10. 남승권.최완식(2005). 정보기술단원 평가에서 분석적 루브릭의 적용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1): 56-67.
  11. 박재승(2010).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교육, 85: 119-139.
  12. 신선경(2008). 21세기 과학기술자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의 새로운 방향, 공학교육, 15(4): 23-27.
  13. 이은화.박정희(2009). 남녀 대학생의 취업준비 학습실태 및 직업기초역량 교육의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2(2): 141-166.
  14. 주인종.권장우.신준우.임경범(2010). IT분야 공학교육인증 이수자의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졸업생 인식 비교, 직업교육연구, 29(1): 121-137.
  15. 채창균.옥준필(2006).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함승연(2009).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1): 196-209.
  17. 허돈(2009). 공학교육인증의 학습성과 평가체계의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2(1): 57-63.
  18. 황은미(2008).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적 행위, 텍스트언어학, 24: 313-335.
  19.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7), 공학교육인증기준설명서 2005.
  20. Arter, J .. & McTighe. J. (2001). 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Using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21. Marzano, R. J., Pickering, D. & Mctighe, J.(1993). Assessing student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dimension of learning model.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irginia.
  22. Goodrich, H.(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23. Zimmaro, D. M. (2004). Developing grading rub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