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of Indicators for Low Carbon Rural Village Planning by AHP

저탄소 농촌마을 계획지표의 AHP 분석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고아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정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1.08.11
  • Accepted : 2011.09.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low carbon rural village planning. We made two kinds of indicators for inland area and waterside area to consider regional disparities. To develop indicators, a draft of the indicators was estimated with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and 42 experts reviewed this draft three times with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check the validity and revise the draft. As a result, the inland indicators were settled with 4 domains 8 items 20 indicators and the waterside indicators were 4 domains 8 items 22 indicators. And next, calculating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s is progressed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So 42 experts chose the best important indicator related to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or agricultural spin off in two kinds of indicators. The final indicators will be used to realize low carbon rural village planning in future which the government is pushing forward with construction of six-hundred low carbon green village.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시공사. (2009). 동부권 자연보전권역내 전원형 명품주거단지 조성방안 연구.
  2. 고재경. (2011). 경기도형 저탄소 녹색마을 추진방향. 경기개발연구원 Policy Brief, No.3.
  3. 권용우, 왕광익, & 유선철. (2010). 해외 저탄소 녹색수변도시. 대한지리학회 논문집, 45(1), 1-10.
  4. 김범철. (2005). 환경친화도시의 구성 요소 중요도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자. (2010). 주요강 유역 연말평가 보고서. 농촌진흥청 미발간자료.
  6. 김은자, 고아라, 이정원, & 김상범. (2011).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농촌마을 계획 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17(1), 29-42.
  7. 김종엽. (2010). 녹색기술을 이용한 저탄소 녹색도시로의 접근.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0(1), 11-16.
  8. 박현신. (2010).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탄소 신도시 계획지표 개발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오세욱, 이진욱, & 하재명. (2008). AHP를 이용한 경사지 아파트단지 계획의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0(2), 207-214.
  10. 이은엽. (2009). 저탄소 녹색도시 정책동향과 경기도 적용방안. 경기개발연구원 CEO REPORT, No.13.
  11. 장남정, 홍성효, & 안정이. (2009). 농산촌 분산형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방안 연구. 전북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2. 조용현. (2008). 생태조경계획 및 설계. 기문당, 179.
  13. 한국환경공단. www.greenvill.or.kr
  14. Satty, Thomas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Cited by

  1. 자원순환형 녹색마을 경관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김제시 중촌마을을 대상으로- vol.18, pp.4, 2011, https://doi.org/10.12653/jecd.2011.18.4.961
  2. 농업경영 리스크 요인 분석: AHP와 IPA 분석 vol.23, pp.3, 2011, https://doi.org/10.12653/jecd.2016.23.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