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 변인

A Study on the and Its Related Variables Social Distance of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in Rural Areas

  • 정진환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 이창식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투고 : 2011.01.28
  • 심사 : 2011.03.22
  • 발행 : 2011.03.30

초록

As multicultural family gradually increased, our society is changing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with social distance of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The participants were 568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 city, D and H county in Chungnam province. Data for the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compari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gender, school record, and place of resid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according to degree of intimacy between general adolescents.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lower self-esteem was, the lower value orientation was, the lower cultural diversity was; the higher social distance is. Accordingly, social distance for adolescent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value orientation, and cultural diversity. Fourth, variables affecting social distance were gender, school record, family composition, place of residence,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intention to be a friend, experience of overseas travel, self-esteem, value orientation, cultural diversity. Among them, intention to be a friend was a main predictor.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태환. (1986). 대학생들의 가치의식. 사회과학연구, 9(1), 110-138.
  2. 강민주. (1993).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능력지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갑석. (2009). 다문화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 217-256.
  4. 김경연. (1987). 부모의 아동평가.자아존중.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과의 관 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미란. (2002).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미옥. (2002).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 99-126.
  7. 김성남. (2003). 에니어그램 집단상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인 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연화. (1986). 도시 주부의 가치관과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용미. (2008). 대학생의 가치관이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춘례. (1992). 자아존중감에 따른 통제소재와 학업성취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치영. (1987).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과 학업 성취.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희자. (2008).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 9(1), 255-282.
  13. 문성호. (2009). 고등학생의 가치관 명료도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미금, & 장명욱. (1985). 도시 저임금 취업주부의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과 가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1-13.
  15. 박윤경. (2002). 외국인 노동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지연. (2008).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희원. (2009).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가치지향성과 인적자원개발의 전략적 성숙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설동훈, & 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24(2), 109-133.
  19. 설동훈. (2009).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새로운 "소수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수선사학회, 34(-), 53-77.
  20. 송관재, 이재창, & 홍영오. (2001).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7(1), 119-136.
  21.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 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20(2), 497-517.
  22. 송인섭. (1996). 자아개념의 교육심리학적 의미. 교육심리연구, 10(1), 1-24.
  23. 송현종. (1993).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귀인모형의 인과적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어옥자.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오승환. (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유난영. (2008).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김포시 일반 청소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윤 진. (1993). 청소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방향. 청소년학연구, 1(1), 17-26.
  28. 이민영. (2009).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와 학생간의 상관 관계와 통합여부에 따른 차이.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성언, & 최유. (2006). 다문화가정 도래에 따른 혼혈인 및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 지원 방안 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30. 이승미. (2006). 프랑스의 문화다양성에 관한 연구-'문화다양성협약'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영란. (2003). 가치관과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인태정. (2009). 다문화 사회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의 다양성태도 연구. 국제지역연구, 13(2), 339-369.
  33. 임이숙. (2005). 문화다양성 시대의 음악교육과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장혜연. (2001). 대학생과 고등학생의 가치관과 의복행동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36. 정기원. (2006). 부산지역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아동과 권리, 10(2), 185-211.
  37.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8. 정찬석. (1997).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경미한 비행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최희영. (200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한미숙.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황범주. (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분석.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Belk, J. H. (1985). Materialism :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65-280. https://doi.org/10.1086/208515
  43.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44. Erikson, E. H. (1963). Childhood & society. New York: Norton.
  45. Ford, M. E. (1982).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323-340.
  46. Harter, S. (1990).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Denver.
  47. Kurdek, L. A., & Krile, D. (1982). A Developmental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eer acceptance and both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perceived social self-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3, 1485-1491. https://doi.org/10.2307/1130075
  48. Laumann, F. O. (1965).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1, July, 23-36.
  49. Nottleman, E. D. (1987). Competence and self-esteem during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41-450.
  5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Waterman, A. S. (1990). Identity in adolescence. In J. Adelson (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Wiley.
  52. Westie, F. R. (1952). Negro-white status differential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7(5), 550-558. https://doi.org/10.2307/2088221

피인용 문헌

  1. 대학생의 다문화 청소년 및 정책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vol.19, pp.1, 2011, https://doi.org/10.17089/kgr.2012.19.1.004
  2. Correlates of Social Distance towards the North Korean Refugees among South Korean Youth vol.15, pp.2, 2011, https://doi.org/10.31203/aepa.2018.15.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