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주연, 이무석, 윤진상, 양종철, 문지웅, 정해원, 은성종. 신체화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특성. 신경정신의학지. 2006;45(6):534-40.
- 방윤경.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요인과 인지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 김주원, 신현권, 곡경내, 이지원, 박세진, 김경혜, 서주희. 서울소재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 정신과 외래 환자의 임상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3):123-34.
- 최보윤, 박지윤, 정인철, 이상룡. 한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신경정신과 환자의 임상고찰 및 SCL-90-R에 의한 특성.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2):1-13.
- 최정윤, 정진복. 우울증환자의 MMPI프로파일. 대한심리학회지. 1991;10(1):34-41.
- Stoeckle JD, Davidson GE. Bodily Complainte and Other symptoms of Depressive Reaction. JAMA. 1962;182(2):134-9. https://doi.org/10.1001/jama.1962.03050520066027
- 고경봉. 정신신체장애, 불안장애 및 우울장애 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정신신체의학지. 1994;2(1):59-68.
- 조은이. 신체증상 귀인과 감정표현불능증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합성의 조절 효과.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 Barsky AJ, Geringer E, Wool CA. A cognitive-education treatment for hypochondriasis. Gen Hop Psychiatry. 1988;10:322-7. https://doi.org/10.1016/0163-8343(88)90003-5
- Cloffi D. Beyond attention strategies; A cognitive-perveptual model of somatic interpretation. Psychol Bull. 1991;109:25-41. https://doi.org/10.1037/0033-2909.109.1.25
- 신현균.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신체 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매개모델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0;19(1):17-32.
- 신현균, 원호택. 신체화의 인지 특성 연구(2)-신체화 환자의 신체감각에 대한 지각, 귀인 및 기억 편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98;17(2):41-54.
-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건강. 2008;13(3):571-81.
- 고경봉.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서울:일조각. 2002:433-54.
- 김명근. 사상체질에 따른 정신병리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 길연하. 성격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지각과 대처, 외향성과 신경증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 Pearlin LI, Schooler C. The structure of coping. J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8; 19:2-21. https://doi.org/10.2307/2136319
- 김선호.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의 표준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6.
- 민성길, 김동기, 박진균, 전세일. 사상체질론의 정신의학적 타당성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지. 2001;40(3):396-406.
-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다면적 인성검사 2 매뉴얼. 서울:(주)마음사랑. 2005.
- 원호택, 신현균.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97;16(2):219-31.
- Barsky AJ, Wyshak G, Klerman GL. The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its relationship to hypochondriasis. J Psychiatric Res. 1990;24:323-34. https://doi.org/10.1016/0022-3956(90)90004-A
- 원호택, 신현균. 신체화의 인지 특성 연구(1)-한국판 신체감각 증폭척도와 증상해석 질문 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8;17(2):33-9.
- Folkman S, Lazarus RS. Manual for the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 김정희, 이장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지. 1985;7(1):127-38.
- 박주영. A,B 성격유형, 자아정체감, 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 정한용, 박준호, 이소영. 우울 증상과 성별에 따른 신체화 환자의 인지적 특성. 신경정신의학지. 2004;43(2):165-71.
- 김지훤, 박보라, 장현호, 김태헌, 류영수, 강형원. 화병환자의 MMPI프로파일과 성격특성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189-203.
- 임정섭. 1994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간이정신진단검사 결과분석. 학생생활연구지. 1995;22:82-7.
- 이만홍. Multiple Somatizer에 관한 임상적연구-somatoform disorder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연구. 신경정신의학지. 1981;20:423-32.
- 임정섭. 1994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간이정신진단검사 결과분석. 학생생활연구지. 1995;22:82-7.
- 이양현, 임효덕, 이종영.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신경정신의학회지. 1996;35(4):888-99.
- 나영석, 정한용, 권영준, 이소영, 박준호. 불안 증상을 동반한 신체화 환자의 인지적 특성. 신경정신의학지. 2004;43(6):726-32.
- Lazarus R,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Springer. 1984.
- Folkman S, Lazaru RS, Dunkel-Schetter C, Delongs A, Gruen RJ. Dynamic of a stressful encounter outcomes. J Pers Soc Psychol. 1986;50:992-1003. https://doi.org/10.1037/0022-3514.50.5.992
- Manos N. Christakis J. Coping with cancer; psychological dimensions. Acta Psychiatr Scand. 1985;72:1-5.
-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 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 Bilings AG, Moos RH.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4;46:877-91. https://doi.org/10.1037/0022-3514.46.4.877
- Folkman S. Personal control stress & coping process: A theorectical analysis. J Per Soc Psychol. 1984;46:839-52. https://doi.org/10.1037/0022-3514.46.4.839
- Vitaliano PP, DeWolfe DJ, Majuro RD, Russo J, Katon W. Appraisal Changeability of a stresso as a modifi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d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hypothesis of fit. J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0;59:582-92. https://doi.org/10.1037/0022-3514.59.3.582
- Wethington E, Keisser RC. Stimulations and processing of coping. New York: Plenum Press. 1991:13-29.
- Michael H. Antoni, Gail Ironson, Neil Schneiderman공저. 최병휘, 김원 편역. 스트레스 인지행동 치료. 서울:시그마프레스. 2010.
- 강용혁. 사상심학-생생한 수세보원 2.0을 읽는다. 고양:대성의학사. 2010:19-20.
- 최선미, 지상은, 정봉연, 안규석, 고병희, 성현제. QSCCII와 MBT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의 성격유형의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47-57.
- 채한, 이수진, 이진우, 노삼웅, 배현수, 홍무창, 신민규. Myers-Briggs Type Indicator 와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특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1;15(1):42-8.
- 이정찬. 사상체질분류검사의 준거 타당화 연구-성격요인검사-16PF-와의 비교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2.
- 조용태. 사상체질검사의 16PF(성격요인검사) 와 MBTI(성격유형검사)를 이용한 준거 타당화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 서은희. 사상체질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특성의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 최대성. 기질 및 성격검사(TCI)를 통한 사상 체질 특성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1.
- 김도순. 동의심학 원리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1):2-35.
- 박효인. Jung의 심리학적 유형과 사상체질 및 성격 특성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 김진형, 향희숙, 국윤재, 노임선, 이성곤, 장현호, 김태헌, 유영수, 강형원. 내원환자의 MMPI 군집분석과 사상체질과의 상관성 연구.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4;15(1):175-85.
- 김종원, 김종우,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검사(QSCC)와 다면적인성검사(MMP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감별과 사상체질별 인격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4;15(1):66-74.
- 류정희. 사상체질별 스트레스인지와 대처방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 김광호, 김보균, 김종우, 황의완. TAS-20K를 이용한 사상체질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113-22.
- 송지영, 박병관, 고병희, 이정호, 장환일, 전성일. 신체형장애의 신체증상에 대한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 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3;32(6):863-86.
- 김종우. 알코올리즘 환자의 인격특성에 관한 임상적 고찰-MMPI와 사상체질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2;3(2):65-85.
- 김종원, 김종우, 고병희, 송일병. 사상체질분류검사(QSCC)와 다면적인성검사(MMP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감별과 사상체질별 인격특성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4;15(1):66-74.
- 박영숙. 전환장애와 신체화장애의 MMPI반응 비교연구. 이화의대지. 1991;14(2):155-63.
- 박미정. MMPI-2 PSY-5 척도와 NEO 인성검사의 비교-성격병리 평가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 Lipowski ZJ. somatization and depression. Psychosom. 1990;31:113-20. https://doi.org/10.1016/S0033-3182(90)72233-5
- Barsky Aj. Resources Utilization of Patients with Hypochondrical health Anxiety and Somatization. Med Care. 2001;39:705-15. https://doi.org/10.1097/00005650-200107000-00007
- Morrison J. Herbstein J secondary affective disorder in Women with somatization disorder. compr Psychiatry. 1988;29:433-40. https://doi.org/10.1016/0010-440X(88)90025-9
- Barsky AJ, Klerman GL. Overview-hypochondriasis, bodily complaints, and somatic style. Am J Psychiatry. 1983;140:273-83. https://doi.org/10.1176/ajp.140.3.273
- 전국한의과대학사상의학교실 저.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2004.
- 김종우. 홧병. 서울:여성신문사. 1977:98.
- 신현균. 우울한 기분상태가 신체화집단의 자기초점적 주의, 신체감각증폭지각, 신체귀인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06;25(2):467-88.
- 곽동일, 신동균, 현진해. MMPI에 의한 위장 장애환자의 성격적 특성. 최신의학지. 1984;27(2):83-7.
- 한창환, 이기봉, 유태혁. 소화성 궤양환자의 정신병리 및 성격적 특성. 신경정신의학지. 1990;29(1):143-53.
Cited by
- Utilization of Western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ental Disorder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from 2010 to 2012 vol.31, pp.5, 2016, https://doi.org/10.3346/jkms.2016.31.5.770
- Analysis of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Problem Behaviors of Sasang Types in a Child Clinical Sample vol.27, pp.1, 2013, https://doi.org/10.7778/jpkm.2013.27.1.007
- Clinical Validation of the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vol.23, pp.3, 2012, https://doi.org/10.7231/JON.2012.23.3.023
- Psychological typology of Sasang medicine vol.4, pp.1, 2015, https://doi.org/10.1016/j.imr.2014.1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