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문계·실업계 고등학생의 식사에 대한 인식과 영양지식 비교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Meals and Nutrition Knowledge i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 윤은정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 정혜영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Yun, Eun-Jung (Dep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 Chung, Hae-Yo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Kyungwon University)
  • 투고 : 2011.01.12
  • 심사 : 2011.08.10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548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단독식사 및 가족식사에 대한 실태와 영양지식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어머니 교육정도는 대부분 고졸과 대졸이었고(p<0.001), 실업계 학생이 인문계 학생보다 어머니의 직장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p<0.01). 가족형태는 부모님과 형제와 함께 살고 있는 학생이 인문계 75.4%, 실업계 73.9%로 조사되었다. 아침식사 횟수의 조사에서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먹는다'로 응답한 경우 인문계 67.6%, 실업계 45.3%, '먹지 않음'으로 응답한 경우는 인문계 7.0%, 실업계 15.6%로 나타났고(p<0.001),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아침식사의 횟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단독식사를 하는 이유로 '내가 바빠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44.0%로 가장 많았고(p<0.001), 단독식사의 주식의 형태로 '밥과 반찬'으로 식사한다는 조사가 53.1%로 나타났다(p<0.05). 단독식사할 때 식사시간의 규칙성에서 '불규칙하다'는 응답(34.9%)에서 실업계 학생이 인문계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식사속도는 대체로 빠른 편이었고, 단독식사 할 때 좋지 않은 식습관 중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으로 '불규칙한 식사시간', '편식' 및 '인스턴트식품 섭취'의 순으로 조사되었다(p<0.01). 가족식사의 인식 조사에서 '함께 사는 가족이 모두 모여 식사하는 것이 가족식사'라고 생각한다는 응답(70.6%)이 가장 많았고(p<0.05), 가족식사의 유무는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11.8% 더 많이 가족식사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였다(p<0.01). 가족식사의 횟수를 '일주일에 1~2회 한다'는 응답이 173명(31.6%), 가족식사의 좋은 점으로 '가족 분위기가 좋아질 수 있다'는 응답(35.4%)이 가장 많았다(p<0.05). 가족식사를 하는 날로 '주말 또는 공휴일'이 50% 이상으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평일에는 학교와 학원수업으로 바빠서 상대적으로 온 가족이 시간적 여유가 있는 주말 또는 공휴일에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주었다. 가족식사의 태도, 환경 및 참여도에 대한 동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가족식사의 태도의 평가에서는 대체적으로 실업계에 비해 인문계가 모두 동의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식사 횟수에 따른 가족식사의 태도, 환경 및 참여도에 대한 동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가족식사의 태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모든 평가에서 가족식사의 횟수가 많은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지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열량에 대한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식사 조절보다 운동이 효과적이다'(인문계 0.65, 실업계 0.61)이었고, 영양소에 관련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다양한 영양소를 가진 식사가 좋은 식사이다'(인문계 0.85, 실업계 0.80)이었다. 영양소의 급원식품 및 기타 항목에서 '등푸른 생선은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좋은 지방공급원이다'의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인문계 0.51, 실업계 0.47). 영양지식 점수 '상', '중' 및 '하'에 따른 가족식사의 태도, 환경 및 참여도에 대한 동의 정도는 영양지식 점수 '상'인 집단에서 가족식사의 동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문계 학생이 실업계 학생보다 아침식사의 횟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인문계 학생들은 학습 및 학원시간 등으로 본인 바쁜 이유로, 실업계 학생들은 불규칙한 생활습관에 따른 식사시간의 불규칙으로 인해서 단독식사를 하고 있었다. 단독식사 시 좋지 않은 식습관으로 인문계 학생들은 방과 후 자율학습 및 학원수강 등으로 집 밖에서 식사를 많이 하게 되므로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먹는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인문계 학생들이 실업계 학생들보다 가족식사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 가족식사의 횟수가 많은 집단과 영양지식 점수가 '상'인 집단에서 가족식사에 대한 동의 정도는 높았다. 따라서 인문계와 실업계 청소년들 모두에게 매일 반복되는 식사의 중요성과 온 가족이 모여서 하는 가족식사가 개별적으로 하는 단독식사보다 식사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식생활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meal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 survey was carried out on 548 male/female students i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frequency of breakfast tha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0.001). As for the reasons for eating alone,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 frequency of 'busy', whereas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high frequency of 'irregular meal times' (p<0.001). Concerning the habit of eating alone, 'irregular meal times (25.0%)', 'unbalanced diet (22.4%)', and 'instant food (16.6%)' were observed in that order (p<0.01). The percentag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regarded family meals as meals eaten with every member of their family was 70.6% (p<0.05). The percentag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ate family meals was 61.8% and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50.0% (p<0.01). When agreement with attitudes,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family meals was evaluated using a Likert scale (strongly agree 5 points, strongly disagree 1 point),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agreement tha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greement as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increased. Likewise, the groups who scored a high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had positive attitudes,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family meal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Choi HM, Kim JH, Jang KJ, Min HS, Rim KS, Byun KW, Lee HM, Kim KW, Kim HS, Kim HA. 2001. Essentials of Nutrition. Kyomunsa, Seoul, Korea. p 3-7.
  2. Park HS, Lee YS, Ku SJ, Han MJ, Cho YW, Oh SY. 2002. Dietary Life and Health. Hyoilbooks, Seoul, Korea. p 11-14.
  3. Jang MS, Lee SH, Moon SW. 2006. Management of Dietary Life. Sinkwang, Seoul, Korea. p 13-17.
  4. Choi NO. 2001. A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ea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presence of other family members during mealtim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JY. 2006. Dietary assessment of the people eating alone.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6.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0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7. Hong SY, Kim ES. 1989. A study on the meal pattern of liberal high school students in Inchon. J Korean Home Econ Assoc 27: 59-72.
  8. Sung SJ, Kwon SJ. 2010.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f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 Nutr 15: 206-226.
  9. Kim SH. 2006. The Surprising Power of Family Meals (translated version). Hansmedia, Seoul, Korea. p 28-44.
  10. Lee KW, Cho YJ. 2007.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wards family mea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15-625.
  11. Mo SM, Kwon SJ, Lee KS. 2000. Shittemasuka Kodomotachi no Syokutaku (translated version). Kyomunsa, Seoul, Korea. p 35-90.
  12. Park SH, Jung RW, Lee HG. 1991. The study on the state of health and dietary habit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Soc Food Sci 7: 67-80.
  13. Kim MH, Bae YJ, Lee HJ, Choi MK. 2009.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ex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21-927.
  14. Lifshitz F, Tarim O, Smith MM. 1993. Nutrition in adolescence.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2: 673-683.
  15. Lee SW, Sung CJ, Kim AJ, Kim MH. 2000.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 Nutr 5: 419-431.
  16. Lee KW, Kim BR. 200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by weight control attemp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20: 91-105.
  17. Kim BR. 2009.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21: 19-33.
  18. Kim KN, Park EJ. 2005. Nutrient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Korean J Commu Nutr 10: 271-280.
  19. Han MJ, Cho HA. 2000. The food habit and stress scor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16: 84-90.
  20. Park MB. 2007.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 and eating habits on physical health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SH. 2003. Comparison on life patterns between academic and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22. Lee YM, Lee KW, Oh YJ. 2009.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s family meals. J Korean Diet Assoc 15: 41-51.
  23. Lee KW, Lee YM, Oh YJ, Cho YJ, Lee MJ. 2008. Attitudes toward family meals and comparisons of dietary quality between family meals and meals eaten alon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4: 127-138.
  24. Kim JH, Jeong YJ, Lee JM. 1995. A study on food habit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Kum Ku Non Chong 2: 37-49.
  25. Villares JMM, Segovia MJG. 2006. The family meal: somewhat more than eating together. Acta Pediatrica Espanola 64: 554-558.
  26. Eisenberg ME, Olson RE, Neumark-Sztainer D, Story M, Bearinger LH. 2004. Correlations between family meals and psychosoci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Arch Pediatr Adolese Med 158: 792-796. https://doi.org/10.1001/archpedi.158.8.792
  27. Cason KL. 2006. Family mealtimes: more than just eating together. J Am Diet Assoc 106: 532-533. https://doi.org/10.1016/j.jada.2006.01.012
  28. Compan E, Moreno J, Ruiz MT, Pascual E. 2002. Doing things together: adolescent health and family rituals. J Epidemiol Com Health 56: 89-94. https://doi.org/10.1136/jech.56.2.89

피인용 문헌

  1.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by High School Type in Chungnam Area vol.25, pp.2, 2015, https://doi.org/10.17495/easdl.2015.4.25.2.213
  2. A Comparison on Dietary Habit and Foodservic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and Rural Areas vol.22, pp.6,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6.711
  3. The Dietary and Late-night eating Behavior according to Residence Type of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vol.23, pp.4,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4.721
  4.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와 인성특성에 관한 연구 vol.29, pp.4, 2011, https://doi.org/10.19031/jkheea.2017.12.2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