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Oligomenorrheic Patients by Through Comparison of BMI, Yangorak, Menarche of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and Oligomenorrheic Group

정상월경군과 희발월경군의 BMI, 양도락, 초경연령 비교를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특성 연구

  • Kim, Jin-Hwa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Jang, Hee-Jae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Lee, Jin-Moo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Lee, Chang-Hoo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Cho, Jung-Hoo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Lee, Kyung-Sub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 Jang, Jun-Bock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
  • 김진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장희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Received : 2011.07.29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Objectives: Oligomenorrhea is clinically important because it can be progressed to amenorrh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s of oligomenorrheic patients by comparison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and oligomenorrheic group of BMI, Yangdorak, menarche. Methods: We studied 58 patients visiting $\bigcirc\;\bigcirc$ Medical Center from May 1st, 2010 to April 30th, 2011. 29 oligomenorrheic group and 29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were compared with BMI, Yangdorak, menarche. The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Results: Mean BMI of oligomenorrheic group was lower than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H1, H2, H3, H4, H5, H6 of oligomenorrheic group was lower than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menarche of oligomenorrheic group was lower than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diagnosis of oligomenorrheic patients by stress would be useful Yangdorak.

Keywords

References

  1. 백승희, 강효신. 월경의 이해를 통한 한방부인과적 특성의 재인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1):49-59.
  2. 추형식 등. 희발월경을 동반한 불임여성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6;39(12):2389-95.
  3.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서울:정담. 2001:140-2.
  4.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제3판. 서울:칼빈서적. 1997:151-65.
  5. 최유덕 편. 새임상 부인과학 2판. 서울:고려의학. 2001:283-301.
  6. Nakatani Y. Skin electric resistance and ryodoraky. J Autonomic Nerve. 1958;6:52.
  7. 조혜숙 등. 사상체질치료를 겸한 희발 월경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63-73.
  8. 임성민 등. 희발월경에서 무월경으로 진행된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2):222-8.
  9. 김현진 등. 비만을 동반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247-57.
  10. 김윤상 등. 신경인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118-27.
  11. 이인선 등.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 진단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2):189-208.
  12. 허자경 등. HRV 측정을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자율신경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00-10.
  13. 백승희, 강효진. 月經의 理解를 통한 韓方婦人科的 特性의 再認識.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1):49-59.
  14. 이인선 등. 여고생의 월경이상에 대 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124-35.
  15. 채우석. 韓醫學槪論. 서울:대성문화자. 1997:150-64.
  16.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韓醫婦人科學(上). 서울:정담. 2001:53-5.
  17. 강길진. 여성생식의학. 서울:대관출판사. 1998:167-90.
  18. Bachmann G.A. Kemmann E. Prevalence of oligomenorrhea and amenorrhea in a colleg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982;144(1):98-102. https://doi.org/10.1016/0002-9378(82)90402-1
  19. 육상숙 등. 탈북여성들의 월경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관련 인자들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4):174-85.
  20. S.N. Kalantaridou A. Makrigiannakis. Stress and female reproductive system. J. Reproductive immunology. 2004;62:61-8. https://doi.org/10.1016/j.jri.2003.09.004
  21. F.L. Drew. The epidemiology of secondary amenorrhea. J Chronic Dis. 1961;14:396-407. https://doi.org/10.1016/0021-9681(61)90138-2
  22. 장미숙 등. 여성의 체형관리 실태와 관련요인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연구소. 2006;13:217-39.
  23. 박영배. 양도락의 원리와 임상적 활용. 제3의학회지. 1996;1(2):83-894.
  24. 선재광. 경락이론과 임상적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서울경락진단학회. 1998:56-7.
  25. 양나래 등.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22(4):110-22.

Cited by

  1.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이 경행후기(經行後期)인 여대생들의 기울과 소화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26, pp.2,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2.104
  2. 사상체질에 따른 월경장애 여고생의 건강도와 한의학적 원인에 대한 임상연구 vol.27, pp.3,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4.27.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