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털 패션을 위한 의복이미지, 메이크업이미지, 헤어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thing Image, Make-up Image, and Hair Image for Total Fashion

  • 최수경 (마산대학 뷰티케어학부)
  • 투고 : 2011.02.24
  • 심사 : 2011.05.31
  • 발행 : 2011.07.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lothing image, make-up image, and hair ima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women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in June, 2009.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F-test, t-test, Duncan 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ree factors of clothing image were titled as elegance, youth, and visibility. Three factors of make-up image were titled as modern, romanticism, and mediocrity. Four factors of hair image were titled as attraction, individuality, gentleness, and cuteness. The clothing image, make-up image, and hair imag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clothing image resulted in correlation with the make-up image and hair image. The clothing image had a influence on the make-up image and hair imag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언영 (2008), 면접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사이버 셀프패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활용 연구: 일반 사무직 예비 취업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5-16.
  2. 박성숙 (2003), 패션 코디네이션에 관한 연구: 패션 잡지 화보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3. 김수진, 한명숙 (1998), 1990년대의 패션과 메이크업의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6(1), pp. 84-93.
  4. 배인순 (2003), 20세기 토털 코디네이션의 변천에 관한 연구: 197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정혜, 이선재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품 선호도 연구, 복식, 52(7), pp. 87-102.
  6.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pp. 91-106.
  7. 이효숙, 박숙현 (2004),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상관성,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p. 44-59.
  8. 최수경 (2010), 의복과 헤어스타일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성인여성의 액세서리 착용 및 화장 정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pp. 336-344.
  9.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p. 92.
  10.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379-391.
  11. 김은애, 이명희 (1992), 가치관과 의복이미지 및 의복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 17(4), pp. 529-538.
  12. Ikuo Daibo (2002), 화장행동의 사회심리학,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3), pp. 223-228.
  13. 한명숙, 선정희 (2001), 웨딩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7(2), pp. 73-85.
  14. 이화순, 황춘섭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복식, 52(8), pp. 137-149.
  15. 정수진, 강경자 (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p. 611-622.
  16. 김향휴 (2000), 패션 헤어스타일의 선호와 성격간의 상관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도주연 (1991), 헤어스타일 변화에 의한 얼굴이미지와 형태의 비교 고찰: Computer Simulation을 이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복숙 (1999), 여성 헤어스타일의 인상효과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명희, 송원영 (2006), 여성의 헤어스타일과 헤어 컬러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6), pp. 945-955.
  20. 하경연, 이명희 (2008), 색채와 질감에 따른 남성 헤어스타일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6(2), pp. 293-304.
  21. 류숙희, 신수래 (2008), 중년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이 미지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5), p. 116.
  22. 박정혜, 이선재 (2002), 추구의복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색조화장품 선호도 연구, 복식, 52(7), pp. 92-93.
  23. 심정희 (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 행동, 의복 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1), p. 95.
  24. 이정희 (2007), 체형과 스트레스가 신체만족도 및 선호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중년여성과 여대생의 비교 연구-, 복식문화연구, 15(6), p. 1093.
  25. 이효숙, 박숙현 (2004),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상관성,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 51.
  26.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p. 384.
  27. 김용숙 (2009), 성인여성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신체 및 화장이미지, 복식, 59(3), p. 62.
  28. 이연희 (2005), 메이크업 색채활용시스템 개발을 위한 화장색 이미지 지각 및 선호도 연구-20대 여성 모델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5), p. 720.
  29. 이화순, 황춘섭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 연구, 복식, 52(8), p. 144.
  30.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p. 101.
  31. 정수진, 강경자 (2006), 메이크업의 컬러코디네이션에 따른 얼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p. 615.
  32. 이명희 (2007), 여성 헤어스타일에 대한 남성 지각자의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2), p. 131.
  33. 이명희, 송원영 (2006), 여성의 헤어스타일과 헤어 컬러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4(6), p. 73.
  34. 이효숙, 박숙현 (2004),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상관성,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 52.
  35. 하경연, 이명희 (2008), 색채와 질감에 따른 남성 헤어스타일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6(2), p. 297.
  36. 최수경 (2010), 의복과 헤어스타일의 추구이미지에 따른 성인여성의 액세서리 착용 및 화장 정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1), p.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