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Relationship Variables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on Son-in-Law's Relation-Satisfaction and Negative Perception

장모-사위 간 관계 변인이 사위의 관계 만족도 및 부정적 지각에 미치는 영향

  • Jeon, Se-Song (Department Child &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Sue-Kyung (Department Child &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eon, Gwee-Yeon (Department Child & Family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전세송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수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전귀연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1.05.30
  • Accepted : 2011.07.11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ship variables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on a son-in-law's relation-satisfaction and negative perception. The son-in-law subjects were 319 married men aged 20-70 years, who were living their mother-in-laws in Daegu, Kyungpook, the Seoul National Capital Area(Seoul, Kyeonggy, Incheon), Busan or Kyungn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son-in-law's relation-satisfaction of his relationship with his mother-in-law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and (2) mutual support and a mother-in-law's conflicting attitude toward her son-in-law affected the son-in-law's relation-satisfaction and negative perception of his relationship with his mother-in-law.

Keywords

References

  1. 김익기, 김정석(2000). 세대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2. 동아일보(2003. 11. 27)." 장모님, 제아내돌려주세요"... 늘어가는 장모-사위 갈등.
  3. 박경란(1993). 맏며느리가 인지하는 시모 부양 긴장. 한국노년학, 13(1), 75-89.
  4. 박경옥(1999). 고부갈등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소영(2005). 며느리들의 시어머니와의 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정윤(1993). 생활감정과 생활교류를 중심으로 한 고부관계와 장모사위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현옥(1990). 고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고부동거가족의 자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경제(2010. 02 .24). 내가 벌어 내가 모신다...사라지는 '남아 선호'.
  9. 성명옥, 이혜자(2002). 시어머니가 지각하는 고부갈등이 제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학회, 18(1), 185-206.
  10. 송현애(1993). 며느리의 노부모 부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우미향(2003). 사위의 장인.장모 부양 부담감연구: 부모 부양의식 및 상호교류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유연지(2006).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영주(2004). 새로운 가족학. 서울: 신정.
  14. 이경애(1981). 고부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에 거주하는 시모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기숙(1985). 한국 가정의 고부갈등 발생원에 대한 요인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영숙, 박경란(2010). 현대 가족관계학. 서울: 신정.
  17. 이정연(1990). 며느리가 인지한 고부갈등과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135-146.
  18. 정희정(2009). 원가족 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고부.옹서갈등을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성연, 전효정, 백경숙, 전연진, 옥경희(2009). 가족관계. 경기도: 양서원.
  20. 지장순(1988). 며느리의 취업여부에 따른 고부갈등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정혜(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겨레(2005. 07. 26). 장모와 사위 사이'역고부갈등'.
  23. 한국경제(2007. 08. 23). 처가 스트레스'고부갈등 못잖다.
  24. 한민아, 한경혜(2004). 세대 간 지원 교환 유형과 성인 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25. 헤럴드경제(2009. 04. 21). 커지는 장모-사위 갈등 모계 사회 新풍속도? 신(新) 고부갈등...장모 vs 사위.
  26. 홍숙자, 유은희, 전길양(1996). 중년 며느리를 위한 고부관계 향상 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지, 34(5), 293-305.
  27. Adams, B. N.(1968). Kinship in an urban setting. Chicago: Markham.
  28. Cheal, D.(1983). Intergenerational family transf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4), 805-814. https://doi.org/10.2307/351793
  29. Stoller, E.(1983). Parental caregiving by adult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851-858. https://doi.org/10.2307/351797

Cited by

  1. The Study on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Solida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in-Law and Son-in-Law: A Comparative Study on Mother-in-Law and Son-in-Law vol.55, pp.3,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18
  2. Influence of Son-in-Law's Support Consciousness towards Mother-in-Law and Marital Quality Based on the Relation-Satisfaction between the Mother-in-Law and Son-in-Law vol.50, pp.3,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3.069
  3. Contact with Parents and Parents‐in‐Law, Gender, and Marital Satisfaction in Korea vol.81, pp.5, 2019, https://doi.org/10.1111/jomf.12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