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daptability Factors for Senior Dementia Patients' Care Givers

치매노인부양자의 자아분화와 적응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Hyeong, Seong-H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Welfare Graduate University)
  • 형성훈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12.15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of families with an elderly member suffering from dementia. Based on 34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intended to explain the adaptation issues of those families. The variables of interest,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self-differentiation, were chronic anxiety(i.e. stress), the family function, psychosomatic symptoms and the family's adaptation to care-giv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potentially related to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of care-giving famili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With decreasing self-differentiation level of the family caring for an elderly member suffering from dementia, the levels of stress and psychosomat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family function and the adaptation to care-giving tended to decrease. Conversely, with increasing self-differentiation, the levels of stress and psychosomat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family function and adaptation to care-giving were promoted.

Keywords

References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2000).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39, 707-717.
  2. 고성혜, 성미애(2008). 가족상담 및 치료.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3. 고수현(2009).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경기: 양서원.
  4. 권복순(2000). 모자가족의 어머니와 자녀가 지각한 가족기능의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40(2), 5-7.
  5. 권중돈(1996). 치매가족의 부양부담 측정도구 개발. 연세사회복지연구, 제3권, 142-221.
  6. 권중돈(1999). 치매환자의 갈등. 서울: 사단법인 한국치매협회.
  7. 김귀분(2009). 치매노인가족의 소진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자, 고현선((1994). 부부의 자아분화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지, 9, 8-17.
  9.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외(2002). 현대 사회학. 서울: 을유문화사.
  10. 김스미(2003). 치매노인부양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자원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영화, 이진숙, 이옥희(2007). 성인지적 가족복지론. 경기: 양서원.
  12. 김정택, 심혜숙(1992). Murray Bowen의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모델. 서강대학교. 인간이해, 13, 37-38.
  13. 김중호(2001). 발달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의 기능적 자아분화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지은, 안선희(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15. 박태영(2001).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학지사.
  16. 배미예, 이은희(200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1), 85-112.
  17. 서문경애(2000). 치매노인 가족의 적응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서문경애(2005). 치매노인가족의 누적스트레스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25(2), 204-206.
  19. 성정현, 여지영, 우국희, 최승희(2007). 가족복지론. 경기: 양서원.
  20. 신경림, 김옥수, 강윤희, 강윤숙, 김미혜, 정순둘 외(2009).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서울: 보건복지부.
  21. 안영자(2008). 원 가족 자아분화수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8, 632-77.
  22. 오청미, 최연실(2006). 기혼남여의자아분화수준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Bowen 이론과 McMaster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지, 11(2), 199-223.
  23. 유용식(2007). 치매노인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광찬(2009). 국민건강보장 쟁취사. 경기: 양서원.
  25. 이영호(2008). 정신건강론. 경기: 공동체.
  26. 이은희(1997). 치매노인부양자의 부담감소를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전략.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은희(2000). 가족탄력모델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가족의 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1, 178-180.
  28. 이은희(2003). 가족기능이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연구. 노인복지연구, 19, 173-197.
  29. 이은희(2005).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부양 부담, 우울 및 불안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은희(2008). 가족탄력모델을 이용한 치매노인부양가족원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연구, 39, 195-216.
  31. 이인정, 최해경(2004). 인간행동과 사화환경. 서울: (주) 나남출판.
  32. 이해영(2009). 케어복지개론. 경기: 양서원.
  33. 임미영, 김윤정(2006).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형태별 부양스트레스: 가정부양자와 시설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대한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겨울호[통권 34호], 180-181.
  34. 임은희(2005). 사회복지 실천과 정신종합 이론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9, 218.
  35. 임지향(2001).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기능과 일상스트레스 대처방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상근(2003). 치매. 서울: 신원문화사.
  37. 전귀현, 주현희(2001). 치매노인의 기능장애와 부양자원이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간환경복지연구, 창간호, 12-13.
  38. 정금안(2002).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상담방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수경(1993). 정신분열증환자의 지병기간에 따른 가족기능의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제석봉(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조근영(2002). 치매노인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조소연(2001). 치매노인부양자의 부양부담 및 가족지지와 부양자의 정신건강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주경복(2009). 치매노인가족의 소진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주현희, 전귀현(1999). 치매노인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치매노인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4(2), 81-99.
  45. 천경임(2007). 주간보호쎈타이용 치매노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신체 및 정신건강.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규련(2007). 가족관계론. 경기: 공동체.
  47. 최은희(2002). 아동학대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기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인재(2004). 부자유친성정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한숙자(2007). 부부갈등과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 한영신학대학교 한영논총, 11, 267.
  50. 한영숙(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16(2), 259-272.
  51. Amirkhanyan, A., & Wolf, D.(2003). Caregiver stress and noncaregiver stress: exploring the pathways of psychiatric morbidity. The Gerontologist, 43(6), 817-827. https://doi.org/10.1093/geront/43.6.817
  52. Bowen, M.(1966). The use of family theory in clinical practice. Comprehensive Psychiatry, 7, 354-374.
  53. Bowen, M.(1974). Towar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 one's family origin. InF. Andres and J. Lorio,(Eds.), Georgetown family Symposium, vol. Wasington, DC; Department of Psychiatry, Georgetown University Medical center, 112-133.
  54. Bowen, M.(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P.J. GuErin(Ed.), Family therapy(42-90). New York: press.
  55. Chodoff, P.(1994). Stress defenses and coping behavior observation in parests of children with malignant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sychatry, 12.
  56. Choi, S. C., & Choi, S. H.(1990). "We-ness" The korean Discourser of Collectivism.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Psycho-cultural Perspectives from east and West. July, 9-13, seoul, Korea.
  57. Kerr, E., & Bowen, M.(1993). Family Evaluation: An Approach Based on Bowen Theory. Adolescence, 28(4), 996.
  58. Kerr, M., & Bowen, M.(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59. Kerr, M. E., & Bowen, M.(2006).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공역). 서울: 학지사. (1988년 원저발간)
  60. Martin, C.(1996). Differentiation and self-development in the relationship context. Family Journal, 4, 188-195. https://doi.org/10.1177/1066480796043002
  61. Martin, C. K.(1994a). The family voice: Application to Bowen's family system theory. Journal of Mental and Family Therapy, 20(1), 37-45.
  62. Martin, C. K.(1994b) The Family voice: Application to Bowen's Family Therap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20, 35-46. https://doi.org/10.1111/j.1752-0606.1994.tb01009.x
  63. Nichols, M. P., & Schwartz, R. C.(2008).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Seven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Pearson Education, Inc. 가족치료. 김영애, 김전택, 송성자, ,정문자, 제석봉(공역), 서울: (주) 시그마프레스. (2001년 원저발간)
  64. Olson, D. H.(1986). Circumplex Model: Validation Studies and FACES III, Family Process, 25. 337-35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6.00337.x
  65. Poulshock, S. W., & Deliming, G. T.(1984). Families Caring for Elders in Residence: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Burden. Journal of Gerontology, 39(2) 230-239) https://doi.org/10.1093/geronj/39.2.230
  66. Smith, J. B., Ray, R. E., & Wetcher, J. L.(1998). levels of fusion, triangulation, and adjustment in families of college students with physical and congnitive disabiliti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6, 29-38. https://doi.org/10.1080/01926189808251084
  67. Soldz, S., Budman, S., Demdy, A., & Nerry, J.(1993). Representation of personality disorders in circumplex and five-factor space: Explorations with a clinical sample. Psychlogical Assessment, 5, 41-50. https://doi.org/10.1037/1040-3590.5.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