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on Public Nanny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Strategies

이용자관점에서 본 아이돌보미지원사업의 특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Received : 2011.03.03
  • Accepted : 2011.03.30
  • Published : 2011.05.30

Abstract

In order to find out better policy strategies for public nanny servic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ajor problems of this service based on 24 in-depth interviews and 7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annies, beneficiaries, managers, and public agents.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public nanny service was effectively filling the gap between nursery care services and parent's care services(especially who are both working). Also, this service provided tailored support to parents who have urgent or unexpected problems which prohibit them from properly caring their children. Especially this service effectively worked for temporary needs of caring young children. This study proposes these two strategies as follows: First, the beneficiary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updated. Second, the level and types of available time should be raised to fit the diverse needs of parents.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천(2008).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2. 김현숙(2006). 영유아 보육재정 지출방식: 기본보조금에 대한 검토, 재정포럼, 제119호, 30-55,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3. 나정(2004).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총괄적 진단과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백선희.김교성(2001). 아동보육비용의 사회적 분담 방안과 재정정책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 27, 210-237.
  5.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8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6. 보건복지가족부(2009a). 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7. 보건복지가족부(2009b). 09년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8. 보건복지가족부(2010). 2010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9.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외(2010). 2009년 전국 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서.서울: 보건복지가족부.
  10. 송승민(2006). 프랑스와 한국의 보육체계 비교: 보육정책과 보육료 지원을 기준으로, EU학 연구, 11(1), 73-97.
  11. 여성가족부(2007). 2007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여성가족부.
  12. 울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2010). 아이돌보미사업결과보고서. 서울: 울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13. 이경묵, 조동성, 이기영, 김효선, 김선미, 장은미 외(2010).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확산 지원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4. 이 옥, 노성향, 유정(2004). 가정보육교사제도 시범실시를 위한 연구. 서울: 여성부.
  15. 장혜경, 홍승아, 김영란, 김수정(2005). 가족내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6. 장혜경, 홍승아, 김영란, 서문희, 김용희(2008). 돌봄노동의 분야별 제도화 방안연구 I: 가족내 아동돌봄도우미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7. 정민자, 김영주, 박초아, 이진숙, 홍금자(2006). 가정내 육아지원서비스 제공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8.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2007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19.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 2008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9). 2009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1. Spradley, J. P.(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Reinhart & Winston.

Cited by

  1. A Study on 'Care Work' Directionality of Child Care Helper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vol.32, pp.2,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27
  2.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Period of Korean Family and Family Policy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6.183
  3. Analysis on Family Resilience of Long-term Childcare Givers: Focused on a Walsh Viewpoint vol.55, pp.4,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32
  4.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ealth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 Care Helpers vol.28, pp.1,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138
  5.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In-Home Child Care Helpers: Focusing on Child-Care Efficacy, Job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vol.22, pp.2, 20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2.71
  6.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ormation on the Self-efficacy of Women Participating in Child Care Work vol.23, pp.3, 2011, https://doi.org/10.13049/kfwa.2018.2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