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영천(2008).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 김현숙(2006). 영유아 보육재정 지출방식: 기본보조금에 대한 검토, 재정포럼, 제119호, 30-55,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 나정(2004).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총괄적 진단과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백선희.김교성(2001). 아동보육비용의 사회적 분담 방안과 재정정책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 27, 210-237.
- 보건복지가족부(2008). 2008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복지가족부(2009a). 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복지가족부(2009b). 09년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보건복지가족부(2010). 2010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서문희, 김은설, 최진, 안재진, 최혜선, 김유경 외(2010). 2009년 전국 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보고서.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송승민(2006). 프랑스와 한국의 보육체계 비교: 보육정책과 보육료 지원을 기준으로, EU학 연구, 11(1), 73-97.
- 여성가족부(2007). 2007년도 아이돌보미 지원사업 안내. 서울: 여성가족부.
- 울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2010). 아이돌보미사업결과보고서. 서울: 울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 이경묵, 조동성, 이기영, 김효선, 김선미, 장은미 외(2010). 기업의 유연근무제 도입.확산 지원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 이 옥, 노성향, 유정(2004). 가정보육교사제도 시범실시를 위한 연구. 서울: 여성부.
- 장혜경, 홍승아, 김영란, 김수정(2005). 가족내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장혜경, 홍승아, 김영란, 서문희, 김용희(2008). 돌봄노동의 분야별 제도화 방안연구 I: 가족내 아동돌봄도우미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정민자, 김영주, 박초아, 이진숙, 홍금자(2006). 가정내 육아지원서비스 제공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2007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 2008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9). 2009아이돌보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 Spradley, J. P.(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NY: Holt, Reinhart & Winston.
Cited by
- A Study on 'Care Work' Directionality of Child Care Helper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vol.32, pp.2,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27
-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Period of Korean Family and Family Policy vol.30, pp.6,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6.183
- Analysis on Family Resilience of Long-term Childcare Givers: Focused on a Walsh Viewpoint vol.55, pp.4,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32
- Effects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on Perception of Health Behavior,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Child Care Helpers vol.28, pp.1,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138
-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In-Home Child Care Helpers: Focusing on Child-Care Efficacy, Job 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vol.22, pp.2, 20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2.71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Formation on the Self-efficacy of Women Participating in Child Care Work vol.23, pp.3, 2011, https://doi.org/10.13049/kfwa.2018.23.3.6